박세필 교수·미래생명硏 상용화
복제용 난자를 영하 196℃에서 급속 냉각시켰다가 원하는 시기에 해동시켜 언제든지 복제동물을 만들 수 있는 생명공학기술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상용화됐다. 이 기술을 통해 3년 전 도축된 제주 흑우가 복제됐다.
국내 연구진이 복제한 제주 흑우.
제주대 줄기세포연구센터 박세필 교수와 미래생명공학연구소(소장 김은영)는 ‘초급속 냉·해동 신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복제 대상 동물에서 떼어낸 체세포 핵을 난자에 이식하고 영하 196℃에서 초급속으로 얼렸다가 몇 년 뒤에라도 필요할 때에 해동시켜 복제동물을 만들어내는 기술이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이용해 2008년 당시 14세 노령으로 도축된 제주 흑우 씨암소를 복제해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씨암소가 도축될 당시 체세포를 냉동보관했다가 ‘체세포 핵 이식’ 방식으로 복제 수정란을 만들었다. 이후 이 수정란을 영하 196℃에 초급속 냉동 보관했다가 지난해 1월 초급속 해동한 뒤 곧바로 대리모 소의 자궁에 이식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지난해 10월 말 제주 흑우 복제 씨암소 ‘흑우순이’가 자연 분만으로 태어났다.
박세필 교수는 “이번 기술은 15분 내에 초급속 냉동이 가능하고, 현장에서 1분 내 해동은 물론 80~90%의 생존율을 보인다.”면서 “언제든지 손쉽게 우수형질 유전자 종을 보존하고 개량할 수 있는 실용화 기반기술을 구축한 데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6-13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