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안맥진기’ 개발 황재옥 소리청한의원 대표원장
손목의 요골동맥을 짚어 맥동(脈動)을 감지하는 맥진은 한방 진료의 핵심이다. 맥동을 통해 오장육부의 병세를 파악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맥동으로 인체의 특정 질환을 찾아내는 일은 쉽지도 않을뿐더러 한의사에 따라 천차만별의 결과가 나와 오히려 혼란을 부추기기도 한다. 일부에서는 이 때문에 맥진 자체가 환자에 대한 기만행위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심안맥진기로 환자를 진맥하고 있는 황재옥(오른쪽) 원장.
이 맥진기는 인체 27맥에서 형성되는 맥동의 세기·끊어짐·느림·빠름 등 6가지 기본 파형을 기본으로 무려 155종의 맥을 읽어낸다. 맥동을 전기신호로 바꿔 모니터에 표시되도록 한 것. 이 맥진기는 환자마다 일관된 진단을 내리기 때문에 치료 효과까지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라고 황 원장은 설명했다. 그는 “한방의 생명은 정확한 진맥이다. 이를 위해 첨단 과학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질병에 따른 맥의 파형을 일률적으로 정리해 이를 표준화해야 한다.”면서 “이런 점에서 심안맥진기는 한방 진맥의 표준화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6-21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