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역사문화진흥원은 22일 제주시에 있는 일제시대의 갱도 실태를 전수 조사한 결과 도두봉, 견월악, 산천단 등 제주 오름에 구축된 갱도 진지는 모두 24곳에서 163개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조사는 지난 해 7월부터 올해 5월까지 300일 동안 제주시 동(洞)지역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0개의 갱도가 발견된 제주시 아라동 산천단 일대는 일본군 제96사단 사령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곳. 갱도 길이가 8~200m 등으로 다양했다. 내부는 크고 작은 공간이 정교하게 만들어져 사령부 진지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도두봉에서는 길이가 8m에서 80m인 4개 갱도가 발견됐다. 당시 육군비행장으로 활용했던 지금의 제주국제공항을 내려다 볼 수 있어 비행장을 경비할 목적으로 구축한 것으로 판단된다
태평양 전쟁때(1941년 12월~1945년 8월) 제주도는 환태평양과 동남아를 연결하는 지중학적 요충지로서 섬 전체에 비행장, 고사포 진지, 격납고, 지하벙커, 지하 동굴진지 등 수많은 군사시설이 구축됐었다.
제주도는 이들 일제시대 군사시설을 선별, 국가지정 문화재로 등록해 학습의 장 등으로 활용하기 위해 2007년부터 실측조사와 학술조사를 하고 있다. 도는 이를 토대로 도내에 산재한 일제 군사시설 전수조사 보고서를 발간했다.
도는 확인되지 않은 군사시설에 대해서는 2012년까지 실태조사를 완료하고 보존 및 활용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