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 이하 다문화가정 어린이 2.9%

6세 이하 다문화가정 어린이 2.9%

입력 2011-07-26 00:00
수정 2011-07-26 07: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나라 만 6세 이하 아동 중 다문화 가정 출신 비율이 2.9%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올해 1월 현재 부모 모두 외국인이거나 한쪽이 외국인인 만 6세 이하 아동은 9만3천537명이고 같은 연령의 전체 주민등록인구는 320만4천520명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전체 외국인 주민(126만5천6명) 비율 2.5%보다 0.4%포인트 높은 것이다.

연령별로 만 0세는 1만6천428명, 만 1세는 1만7천304명, 만 2세는 1만6천607명, 만 3세는 1만5천584명, 만 4세는 1만775명, 만 5세는 8천844명, 만 6세는 7천995명이다.

연령별 주민등록인구 대비 비율은 만 0세 3.7%, 만 1세 3.9%, 만 2세 3.6%, 만 3세 3.1% 로 3%가 넘었고 만 4세는 2.4%, 만 5세는 2.0%, 만 6세는 1.7%로 내려갔다.

국가별로 베트남인이 2만9천997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인이 2만418명, 한국계 중국인이 1만6천46명, 필리핀인 8천466명, 일본인 5천211명, 캄보디아인 3천128명, 중앙아시아인 1천768명, 몽골인 1천652명, 태국인 1천181명 순이다.

특히 베트남은 만 3세부터는 중국과 한국계 중국을 합한 숫자를 추월했다.

만 0세의 경우 베트남인은 6천231명, 중국인은 3천452명, 한국계 중국인은 2천80명인데 만 6세는 베트남인 909명, 중국인 1천948명, 한국계 중국인 2천131명이다.

지역별로도 서울은 만 6세 이하 외국인자녀 1만4천43명 중 한국계 중국인이 4천776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인이 3천18명, 베트남인이 2천168명, 일본인 1천120명, 필리핀인 750명 등의 순이다.

반면 경상남도의 경우 7천409명 중 베트남인 3천561명, 중국인 1천330명, 한국계 중국인 582명, 필리핀인 566명, 캄보디아인 385명 등으로 순서가 다르다.

만 6세 이하 외국인 자녀는 2009년의 6만4천40명에 비해서는 2만9천497명(46.1%) 증가했다.

이 기간 만 18세 이하 전체 외국인 자녀 증가 인원은 4만3천465명(10만7천689명→15만1천154명)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