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개大 입학사정관 원서마감…평균 10.74대 1,경쟁률 양극화

23개大 입학사정관 원서마감…평균 10.74대 1,경쟁률 양극화

입력 2011-08-07 00:00
수정 2011-08-07 09: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3개 대학이 2012학년도 대학입학 수시 입학사정관 전형의 원서접수를 마감한 결과 평균 10.7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7일 각 대학에 따르면 1∼5일 원서를 접수한 건국대·경희대·고려대·동국대·서강대·성균관대·연세대·이화여대·중앙대·한국외대·한양대 등 23개 대학(모집 정원 9천519명)에 10만2천561명이 지원했다.

 지난해(정원 7천15명,지원자 7만1천923명)에 비해 지원자 수는 3만여명(42.6%) 늘었으며 경쟁률은 작년(10.25대 1)보다 약간 높아졌다.

 올해 수시 입학사정관 전형 원서접수에서 수험생들이 보인 특징은 지원 자격에 제한이 없거나 비교과·특기 활동에 비중을 많이 두는 자기추천·특기자 전형에 대거 지원했다는 점이다.

 또 지원율이 서울 지역 대학은 높았지만 지방대나 지역 캠퍼스는 낮았다.

 지원 자격에 사실상 제한이 거의 없는 전형은 대학마다 경쟁률이 치솟았다.1단계에서 서류,에세이 만으로 평가하는 연세대 창의인재 전형은 60.6대 1,서류 100%로 평가하는 서강대 특기자 전형은 41.56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교과보다 활동과 서류,면접을 중시하는 한양대의 미래인재 전형(42.62대 1),경희대의 창의적체험활동 전형(34.19대 1),중앙대의 다빈치형인재 전형(27.59대 1),건국대의 KU 자기추천 전형(28.22대 1)도 비슷했다.

 반면 학생부 교과 성적 위주로 평가하는 전형은 상대적으로 지원율이 낮았다.1단계에서 학생부 100%로 뽑는 연세대 진리자유 전형은 11.01대 1,1단계에서 학생부 75%로 평가하는 서강대 학교생활우수자 전형은 9.96대 1에 그쳤다.

 경쟁률이 높은 상위 5개 대학은 서울시립대(24.81대 1),한양대(서울)(21.24대 1),경희대(서울)(17.43대 1),중앙대(16.93대 1),이화여대(14.87대 1)였다.

 하위 5개 대학(캠퍼스 포함)은 중앙대(안성)(3.86대 1),제주대(4.02대 1),홍익대(조치원)(4.11대 1),한국외대(글로벌)(4.78대 1),한동대(5.15대 1)였다.

 오종운 이투스청솔 평가이사는 “올해부터 수시 추가등록이 가능해져 정시의 문호가 줄어들고 수능시험도 쉬워질 것으로 예상돼 입학사정관 전형 지원자가 많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치우 비상에듀 입시평가실장은 “학생부 성적 위주의 전형은 지원을 꺼린 반면 서류 위주 전형은 ‘안되면 말고’ 식의 묻지마 지원이 극심했다”며 “이런 경향은 대학이 정확한 평가 기준을 공개하지 않는 한 앞으로도 비슷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가천대(경원)는 8일,단국대는 12일 원서 접수를 끝내며 서울대는 17∼18일 수시 원서를 접수한다.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서울시의회(의장 최호정)는 오는 20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재정 여건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한정된 재원을 어떻게 배분하고 시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에 투자할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명의 재정 전문가가 서울시와 교육청 예산안을 각각 분석 발표하며, 서울시의원, 재정 전문가, 공무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방청을 희망하는 시민은 누구나 토론회를 참관할 수 있으며, 유튜브(‘서울시의회 토론회 제2대회의실’ 검색)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는 2011년부터 매년 개최됐으며, 본격적인 예산안 심사에 앞서 중점 투자방향, 분야별 재원배분, 신규·증감 사업을 분석하여 예산 효율화와 건전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지난 10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된 2026년도 서울시 예산안은 전년도 대비 5.4% 증가한 총 51조 4513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석과불식(碩果不食 碩果不食 : 큰 과실을 다 먹지 않고 남겨 자손에게 복을 준다)의 관점에서 서울시 예산안의 3대 투자 중점별(동행서울, 안전서울, 매력서울) 주요 사업과 8
thumbnail -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