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연대의 경고…”박원순 이젠 감시대상”

참여연대의 경고…”박원순 이젠 감시대상”

입력 2011-10-27 00:00
수정 2011-10-27 08: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무처장 출신 박원순 시장 이젠 감시대상”

이미지 확대
범야권의 박원순 후보가 26일 치러진 서울시장 보궐선거에서 당선되면서 그가 상당기간 몸담았던 참여연대의 존재가 다시 주목받고 있다.

참여연대는 ‘시민 스스로 정치에 참여하고 인권 감시의 파수꾼이 되자’는 취지 아래 지난 1994년 9월10일 ‘참여민주사회와 인권을 위한 시민연대’라는 이름으로 각계 지도급 인사 200여명이 창립했다.

창립 구성원으로는 박원순 변호사 이외에 김중배 전 한겨레신문 사장과 홍성우 변호사, 오재식 전 월드비전 대표를 비롯해 한명숙 전 총리, 이세중 환경재단 이사장,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등 진보진영 주요 인사들이 다수 포함됐다.

창립 당시 의정감시센터ㆍ사법감시센터ㆍ공익소송센터ㆍ내부고발자지원센터ㆍ인권센터ㆍ사회복지특별위원회 등의 조직을 두고 국민연금 가입자 권한 확대, 최저생계 보장, 국공립 보육시설 확대 등을 뼈대로 한 국민 생활 최저선 운동에 나섰다.

이후 변호사법 개정안 마련 등 사법개혁운동을 비롯해 부패방지법안 발표, 소액주주 운동, 예산 감시 정보공개청구 운동, 이동통신요금 인하 운동, 평화캠페인 등 기업과 정부 권력을 감시하고 시민 권리를 찾는 활동을 각 분야에서 벌여 왔다.

지난해 천안함 침몰사태 발생 이후 민관 합동조사단이 ‘천안함 침몰은 북한 소행’이라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자 참여연대는 이의를 제기하는 공개서한과 반박 보고서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보내 파문을 일으키기도 했다.

검사 출신으로 역사문제연구소 초대 이사장과 대한변호사협회 인권위원 등을 거쳐 참여연대 창립에 동참한 박 변호사는 1994~2002년 사무처장으로 재직했다.

그는 16대 총선이 열린 지난 2000년 참여연대를 비롯한 전국 400여개 시민사회로 이뤄진 ‘총선시민연대’ 상임공동집행위원장을 맡아 부적절한 후보에 대한 낙천ㆍ낙선운동을 이끌면서 참여연대를 대중의 뇌리에 뚜렷이 각인했다.

그간 “박 변호사의 출마와 우리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혀 온 참여연대는 박 변호사의 당선에 대해 공개적인 언급을 꺼리는 모습이다.

선거 과정에서 한나라당 등 일부 정치권이 참여연대를 두고 ‘기업을 협박해 아름다운재단 기부금을 뜯어낸 단체’라는 의혹을 제기하며 네거티브 공세를 한 탓에 ‘이번 선거의 최대 피해자는 우리’라는 인식이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박원석 협동사무처장은 “일일이 해명할 가치도 없는 의혹 제기로 참여연대의 존재가 부정적으로 알려졌다”면서 “선거 결과에 대해 참여연대 차원의 공식 논평을 내겠지만 개인적으론 할 말이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참여연대 출신 인사가 서울시정의 전권을 잡았다는 점에서 향후 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의 활동에 힘이 실릴 것이라는 전망이 시민사회 안팎에서 나온다.

다만 박 변호사가 ‘시민사회 인사’에서 시장이라는 공직자로 위치가 바뀐 만큼 여느 시장과 마찬가지로 긴장 관계를 유지할 것인지가 관심사다.

안진걸 참여연대 사회경제팀장은 27일 “박 변호사가 참여연대 출신이라도 권력 감시라는 시민단체의 고유 역할은 변하지 않으며 참여연대 출신 박 시장이 이제 참여연대의 감시를 받는 상황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