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일 서울 노원구 월계동 주택가에서 걷어낸 방사능 검출 아스팔트의 보관 및 처리가 엉망인 것으로 확인됐다. 노원구 상계동 마들근린공원의 한 구석에 파란 천막이 씌워진 크고 작은 더미가 서너 군데 있었다. 폐쇄된 공원 내 야외 수영장에 기후변화 체험 종합교육장으로 활용될 ‘에코 센터’가 건설 중인 현장의 한가운데다. 파란 천막은 다름 아닌 방사성물질에 오염돼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로 분류된 폐아스팔트 330여t의 가림막이다. 천막은 손으로 쉽게 들춰졌다. 전문관리요원은 없다. 또 그 옆으로 작업 인부들이 오갔다. 공사 때문에 쳐져 있는 철조망 옆 부근 공원 산책로에서 주민들이 한가로이 거닐기도 했다. 주민들의 안전을 위해 방사성물질이 나온 아스팔트를 400m구간을 뜯어냈다지만 장소만 바뀌었을 뿐 방치되기는 매한가지였다.
이미지 확대
뒤편엔 아파트촌이… 14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마들근린공원 내 수영장 부지에 지난 4일 월계동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검출돼 철거한 폐아스팔트 더미들이 비닐 가림막으로 일부만 덮인 채 방치돼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뒤편엔 아파트촌이… 14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마들근린공원 내 수영장 부지에 지난 4일 월계동에서 기준치 이상의 방사능이 검출돼 철거한 폐아스팔트 더미들이 비닐 가림막으로 일부만 덮인 채 방치돼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인도 규정에 따르면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은 경주에 있는 방사성 폐기장으로 옮겨야 한다. 그러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경주에 가는 것이 맞다.”는 원론적 입장만 반복할 뿐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 경주 방폐장이 아직 완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주로 가기 복잡한 상황이라면 적어도 임시 저장소인 인근 공릉동 한국전력 중앙연수원 내 한 건물에 보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제안이 힘을 얻고 있다. 이곳에는 이미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보관하고 있어서다. 한국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이곳에 있는 폐기물도 경주 방폐장으로 보내는 게 맞지만 아직 경주 방폐장 공사가 끝나지 않아 임시로 보관해 둘 뿐”이라면서 “하지만 정기적으로 방사능 수치를 점검하고 있어 안전하다.”고 말했다. 즉 경주 방폐장으로 갈수 없는 상황인 만큼 폐아스팔트를 그나마 제때 점검할 수 있는 한전 연수원 내 건물로 옮기는 게 바람직하다는 얘기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