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올 최고 키워드·인물은?

대학가 올 최고 키워드·인물은?

입력 2011-12-09 00:00
수정 2011-12-09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반값 등록금·안철수

‘반값 등록금’이 올해 대학생들이 가장 주목한 이슈로 꼽혔다. 올해의 인물은 단연 ‘안철수 교수’였다.

이미지 확대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취업포털 알바몬이 지난 1~6일 전국의 대학생 433명을 대상으로 ‘2011년 올해의 이슈와 인물’을 설문조사(중복응답 허용)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고 8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 3명 중 1명에 해당하는 33.0%(143명)가 ‘반값 등록금’을 올해 가장 뜨거웠던 이슈라고 응답했다. 값비싼 대학 등록금이 대학생들이 피부로 느끼는 가장 민감하고 중요한 관심사임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어 ‘스마트폰’(30.7%), ‘스티브 잡스 사망’(30.5%) 등이 뒤를 이었다. 올해 스마트폰 사용자가 국내에서만 2000만명을 넘어선 가운데 대학 강의는 물론 캠퍼스 생활 등 스마트폰이 대학생들의 생활패턴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으로 상징되는 아이폰을 개발한 스티브 잡스의 사망 역시 대학생들에게 충격으로 부각됐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 대지진’(28.9%), ‘영화 도가니’(24.7%), ‘나꼼수’(22.9%), ‘한·미 FTA 비준’(22.6%),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22.2%), ‘무상급식’(21.5%),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20.6%) 등도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국제 문제에 대해서도 관심이 커 적지 않은 대학생들이 ‘일본 대지진’을 4위로 꼽은 데 이어 ‘유럽발 금융위기’(7.9%), ‘반(反)월가 시위’(7.4%)’, ‘노르웨이 총격사건’(5.3%), ‘리비아 혁명’(5.1%) 등에 대해서도 관심을 보였다.

올해의 인물로는 ‘안철수 교수’(26.6%)가 압도적인 1위에 올랐다. 2위와 배 이상 큰 격차를 보였다. 안 교수에 이어 ‘스티브 잡스’(10.9%), ‘박원순 서울시장’(7.2%), ‘김어준 딴지일보 총수’(3.5%), ‘김연아 선수’(3.0%) 등이 올해의 인물 5위 안에 랭크됐다.

이영준기자 apple@seoul.co.kr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6일 부천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및 제26회 대한민국오늘문화대상’ 시상식에서 광역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사단법인 대한민국연예예술인연합회(총재 남상숙, 이사장 황계호), 한국언론대표자협의회, 대한모델협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실천해온 인물을 정례적으로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조직위원회는 박 의원이 지역 현안을 직접 챙기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상생활에 밀접한 교통체증 해소, 급수 환경 개선을 비롯해, 교육·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는 점이 수상 배경으로 꼽힌다. 또한 저소득·다문화 아동을 위한 영어교실 출범을 위한 민·관 협력을 주도하고, 장애인 대상 나눔 행사 지원,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동행플라자 유치 등 지역 기반의 사회공헌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박 의원은 “2년 연속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곳곳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자원봉사와 사회공헌의 가치를 실천하는 의정활동으로 서울시와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2011-12-0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