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이 지날 줄 상상도 못했다”

“20년이 지날 줄 상상도 못했다”

입력 2011-12-13 00:00
수정 2011-12-13 08: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요집회 1천회’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

7회부터 참가한 수요집회가 어느덧 1천회를 맞았다. 66세이던 할머니는 여든다섯이 됐다.

13일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에 있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우리집’에서 만난 김복동(85) 할머니는 수요집회 1천회를 맞는 기분이 “암담하다”고 했다.

집회를 시작할 당시엔 ‘그냥 몇 번 하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나갔지, 20년이나 이어지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 사이 일본대사관 앞에서 함께 울고 웃던 많은 할머니들이 하나 둘 세상을 떠났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수요집회는 나간다 아이가. 몸이 아파도 나간다. 그런데 갔다 오면 아파. 어디가 크게 아픈 게 아니라 나이가 많으니까 온몸이 말을 안 듣는기라.”

부산이 고향인 김 할머니는 열다섯에 일본군에 끌려가 중국 광둥,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등지에서 위안부 생활을 했다.

회상에 잠긴 할머니는 목소리가 잦아들었다.

”처음 끌려가서 당할 때가 제일 쓰라린 기억이지. 죽지도 살지도 못하고 오도 가도 못하고…. 그 심정을 어디다 말을 다 하겠나.”

할머니는 수요집회가 진행된 20년 가까운 기간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 관계자들과 무수히 많은 위안부 행사에 참여했다.

위안부에 대한 세간의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 각종 토론회에서 생생한 증언을 한 건 물론, 2000년에는 화가의 지도를 받아가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의 한과 고통을 담은 그림 모음집을 출간하기도 했다.

2009년엔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건립에 써달라며 4년여간 정부에서 받은 생활지원비 중 일부를 떼어 1천만원을 내놓았고, 지난해에는 정대협 관계자와 함께 국회를 방문해 의원들에게 위안부 문제 해결에 힘을 보태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할머니의 활동력은 약해지고 있다.

김 할머니는 날씨가 유난히 궂었던 지난 7일 999회 수요시위에 다녀온 뒤 몸이 오슬오슬 떨려 병원에 다니고 있다. 할머니는 “밖에서 비바람 맞으면서 사죄하라고 소리치는 것도 이젠 지칠 대로 지쳤다”며 한숨을 쉬었다.

”인제 그만 묻어버리고 싶은데 수요일에 집회 다녀오면 잊고 싶은 기억을 지울 수가 없어. 우리나라 대통령이 앞장서서 하루빨리 위안부 문제를 마무리 지어 달라고 일본 정부에 요구했으면 좋겠어. 이제 다시는 수요집회는 안 하고 싶어.”

연합뉴스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서울시의회 홍국표 의원(국민의힘, 도봉2)이 지난 6일 도봉구청 2층 선인봉홀에서 열린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에 참석해 수상자들에게 상장을 수여했다. 이번 서예대전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서울 도봉구 협의회가 주최한 행사로, 평화와 통일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다양한 세대의 작가들이 참여해 작품 경쟁을 펼쳤다. 현대적인 캘리그래피부터 전통 동양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의 작품들이 출품되어 평화통일에 대한 염원을 예술로 승화시켰다. 홍 의원은 “올해는 광복 8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라며 “서예대전에 출품된 작품 하나하나를 보면서 붓끝 획 하나하나에 담긴 정성과 염원이 남북통일의 근간이 되어 널리 펼쳐지길 기원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이번 대전을 통해 어린 학생부터 연로하신 어르신까지 다양한 세대가 함께 평화통일에 대한 의지를 다지는 모습을 보며 큰 감동을 받았다”면서 “분단의 아픔을 딛고 평화로운 통일 한국을 만들어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숭고한 사명으로, 앞으로도 이런 뜻깊은 행사가 지속되어 우리 지역사회에 평화통일 의식이 더욱 확산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thumbnail - 홍국표 서울시의원, 제11회 평화통일 서예대전 시상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