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동원 사죄하라” 1천번째 수요집회

“위안부 동원 사죄하라” 1천번째 수요집회

입력 2011-12-14 00:00
수정 2011-12-14 14: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日정부 우려 표명에도 평화비 제막

일제 강점기 위안부 동원에 대해 일본 정부의 사죄와 책임 이행을 촉구하는 수요집회가 14일로 1천회를 맞았다.

이미지 확대
제1000차 일본군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14일 오후 서울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집회에 참가한 한 학생이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 모금함에 성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1000차 일본군 ‘위안부’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가 14일 오후 서울 중학동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집회에 참가한 한 학생이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건립 모금함에 성금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이날 정오 서울 중학동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위안부 피해 할머니와 정대협 관계자, 정치권 인사 등 3천명(경찰 추산 1천명)이 참석한 가운데 1천번째 수요집회를 개최했다.

이날 집회에는 길원옥ㆍ김복동ㆍ박옥선ㆍ김순옥ㆍ강일출 할머니 등 위안부 피해자 5명이 참석했다. 한나라당 정몽준 전 대표와 한명숙 전 총리, 민주당 정동영 최고위원, 통합진보당 이정희 대표 등 정치권 인사들도 모습을 보였다.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는 “이명박 대통령도 일본 정부에 대해 과거 잘못을 사죄할 것은 사죄하고 배상할 것은 배상하라고 말해 주면 좋겠다”며 “일본 대사는 이 늙은이들이 다 죽기 전에 하루빨리 사죄하라”고 말했다.

길원옥 할머니는 “우울하다. 저 일본인들이 사죄하지 않는데 1천회라고 해서 다를 게 있느냐”며 “각자가 맡은 자리에서 최선을 다해 살아줘서 다시는 우리나라에 나 같은 사람이 나오지 않게 해 달라”고 1천회 집회를 맞은 소감을 밝혔다.

1992년 1월8일 시작한 수요집회는 1995년 일본 고베 대지진 당시 집회를 취소하고 지난 3월 동일본 대지진 때 항의집회를 추모집회로 대신한 경우를 빼면 20년 가까이 매주 수요일 정오에 빠짐없이 이어져 왔다.

사회를 맡은 배우 권해효씨는 “1천회인 오늘이 기쁜 날인지 슬픈 날인지 답답한 날인지 잘 모르겠다”며 “분명한 사실은 부끄러운 역사를 후손에게 물려주지 않으려 결심하고 20년을 보낸 이 자리가 뜨겁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미향 정대협 상임대표는 “1천회가 되는 동안 걸어온 길 앞에 두꺼운 벽이 서 있었지만 그 벽에 조금씩 금이 가고 있다”며 “전국 곳곳, 세계 곳곳에서 울릴 함성이 일본 정부로 하여금 우리 할머니들 앞에 무릎 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수요집회에서는 일본 정부가 우리 정부에 “양국 외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우려를 표명한 평화비도 대사관 건너편에 예정대로 세워졌다.

정대협이 시민사회의 모금을 통해 건립한 평화비는 한복을 입고 손을 무릎 위에 모은 채 작은 의자에 앉은 위안부 소녀의 모습을 높이 약 130㎝로 형상화했다. 옆자리의 빈 의자는 소녀를 위로하는 시민의 몫으로 남겨뒀다.

의자 옆 돌바닥에는 ‘1992년 1월8일부터 이곳 일본 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시위가 2011년 12월14일 1천번째를 맞이함에 그 숭고한 정신과 역사를 잇고자 이 평화비를 세우다’라는 문구가 한국어와 영어, 일본어 등 3개국어로 새겨졌다.

참가자들은 일본 정부의 전쟁범죄 인정과 공식 사죄, 피해자에 대한 법적 배상, 책임자 처벌, 역사 교과서에 관련 사실 기록, 추모비와 사료관 건립 등 위안부 피해자들의 요구들을 구호로 외치며 평화비를 덮고 있던 막을 걷었다.

수요집회와 위안부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을 반영하듯 일본 NHK와 후지TV, 로스앤젤레스 타임스(LAT), AP, 로이터, EPA 등 외국 언론사들도 이날 집회 현장 취재에 나섰다.

일본 대사관 측은 이날 집회에 일절 대응하지 않았다.

이날 1천회 수요집회를 맞아 서울을 비롯해 부산과 울산, 대구, 광주, 경기, 경남, 전북 등 전국 곳곳에서 위안부 피해자를 위로하고 일본 정부의 책임을 묻는 캠페인과 집회, 1인 시위 등이 잇따랐다.

일본 도쿄와 미국 뉴욕, 대만 타이베이 등 세계 주요 도시에서도 현지 한인과 시민단체가 중심이 돼 연대 행사를 개최했다.

연합뉴스

이성배 서울시의원,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업 본격화로 주변 도로개선공사 시행

서울시가 추진하는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이하 MICE) 사업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MICE 사업 부지인 종합운동장 인근의 도로개선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잠실 MICE 사업은 잠실 종합운동장 일대에 대규모 전시장·컨벤션·체육시설·호텔 등 핵심 시설을 유치해 향후 수십 년간 서울의 경제 성장 동력이자 미래 먹거리가 될 공간을 조성하는 약 3조원에 달하는 서울시 대규모 사업이다. 서울시의회 이성배 의원(국민의힘, 송파4)과 서울시는 오랜기간 잠실 MICE 사업에 대해 논의해 왔다. 이 의원은 “MICE 사업은 잠실 주민뿐만 아니라 서울시민 그리고 전 세계가 염원하는 사업으로 본 사업을 통해 대한민국 위상이 한층 올라갈 수 있도록 조속하지만 실속 있는 추진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서울시에 잠실 MICE 사업 부지인 現 종합운동장역 인근 주변 도로개선공사를 통해 잠실 MICE 사업의 기반을 다지고 잠실 주민들 또한 보다 깨끗한 교통 및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이 의원과 서울시가 함께 추진키로 했다. 지난 7월에는 서울시 관계자와의 회의를 개최해, MICE 사업 추진 현황과 사업의 본격 추진으로 인한 주변 도로개선공사에 대해 보고 받
thumbnail - 이성배 서울시의원, 잠실 국제교류복합지구 사업 본격화로 주변 도로개선공사 시행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