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 없는 자녀교육 성공비결은?”

”사교육 없는 자녀교육 성공비결은?”

입력 2011-12-22 00:00
수정 2011-12-22 14: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원증 대신 도서관대출증…주말엔 공연서울교육청 공모전 맞벌이부부 성공사례

방과후학교 원어민교사 영어수업·컴퓨터수업, 문화센터 방송댄스·수영, 도서관 책 빌려 읽기, 과학관 기초과학교실, 서울시교육청 ‘꿀맛닷컴’ 홈페이지 논술교실….

수학ㆍ영어경시대회, 독서퀴즈대회, 글쓰기 대회에서 상을 휩쓴 초등학교 3학년 김수찬(9)군의 일과에는 거의 모든 또래에 빠짐없이 들어 있는 ‘학원 가기’가 빠져 있었다.

22일 서울시교육청의 ‘사교육 없는 자녀교육 성공사례 시상식’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김군의 아버지 김혁(43)씨는 “아이 교육에 정답은 없다”면서도 “부모가 알고 고생하고 노력하고 열정을 갖는 만큼 아이가 강해진다”고 자신 있게 말했다.

맞벌이인 김씨 부부는 그동안 아이에게 사교육을 전혀 시키지 않았다. 대신 5살 생일에 서울시립어린이도서관 대출 회원증을 선물하고 지금까지 1천400여권의 책을 읽도록 자주 데리고 다녔다.

주말에는 아이와 함께 김덕수의 전통연희상설공연, 국립국악원 국악나들이, 남산국악당 전통공연, 한옥마을 솟대 만들기, 정동극장 공연 등을 찾아다녔다.

한 학기 국립서울과학관 기초과학교실을 다녀 과학을 ‘놀이’로 여기게 했고,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수학경시대회를 대비할 때 책 40여권을 사서 직접 문제 푸는 걸 도왔다.

그런데 지난해 아이가 ‘엄마는 북극곰, 아빠는 염라대왕, 자신은 구석에서 공부하는 모습’의 가족 그림을 그린 걸 보고는 경시대회마저도 강요하지 않았다. 대신 하고 싶은 것에 더 귀 기울였다.

김씨는 “지옥 같은 입시제도를 겪어봤지만 투자한 열정과 노력에 비해 남는 게 많지 않더라. 일류대학을 나온다고 인생이 행복한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긴 인생에서 아이에게 추억을 많이 만들어주고 싶었다”고 했다.

처음엔 ‘다른 애들은 다들 학원 간다’며 걱정하던 아내도 지금은 그의 방식을 따른다고 한다.

김씨는 “내가 80%, 아내가 20% 정도 아이 교육을 맡는데 주말에 엄마들이 붐비는 공연장에 아이와 단둘이 가는 게 이젠 쑥스럽지 않다”고 말했다.

김씨는 “보통 초등학교 5학년이면 부모가 직접 아이를 가르쳐줄 수 있는 한계가 와서 고비라고 한다. 그래도 사교육을 시킬 생각은 없다”며 “EBS, 교육청 홈페이지에서 심화학습 하는 걸로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6년간 매일 꾸준히 시간을 들여 각종 교육자료를 모아온 김씨는 인터넷에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되는 정보가 무궁무진하지만, 뿔뿔이 흩어져 있어 학부모들이 활용하기 힘든 점을 문제로 꼽았다.

김씨는 “수년간 아이를 위한 정보를 직접 찾다 보니 이젠 익숙해졌지만 맞벌이 부부가 일일이 필요한 정보를 찾아보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몰라서 못하는 게 너무 많다”며 “정부 차원에서 ‘국가교육정보포털’ 같은 것을 만들어서 흩어진 정보를 모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또 “국립과학관이 월 3만5천원의 수강료로 과학실험반을 다닐 수 있어 인기 있는데 10개반 중 일곱 반은 사교육 단체에 대여해주더라. 나머지 3개반은 1~2분 만에 인터넷 신청이 마감되는 등 매달 전쟁이 벌어지는데 이런 점부터 고쳐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