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찌개 끓이기 무섭다

된장찌개 끓이기 무섭다

입력 2012-01-09 00:00
수정 2012-01-09 00: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상기온에 재료비 30% 급등

설을 앞두고 주요 채소류 가격이 급등하면서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된장찌개를 끓이는 비용이 지난해보다 30% 정도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설 제사나 선물용으로 쓰이는 과일 값도 치솟은 것으로 분석됐다.

8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된장찌개 3∼4인분을 끓이기 위해 된장(80g)과 호박 반개, 감자·양파·대파 각 100g, 고추 3분의1 봉지, 바지락 200g, 두부 반모, 고춧가루(10g)를 사면 지난해에는 5100원이 들었지만 올해는 이보다 29.4% 증가한 6600원을 써야 한다.

이는 호박과 감자, 된장, 두부, 소금 등 된장찌개 주요 재료의 가격이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농수산물유통공사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호박(주키니·10㎏)값은 지난해 1월 평균가격보다 154.7% 폭등한 2만 3180원에 경매가 이뤄지고 있다

제사용이나 선물용 등으로 쓰이는 과일 가격도 지난해 일조량 부족으로 공급이 감소하면서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서울시농수산물공사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후지 사과 특등급 15㎏들이 상자의 평균 거래가격은 8만 5777원으로 지난해 동기에 비해 14.3% 올랐다. 밤(상품·40㎏) 가격도 지난해 9만 5000원에서 올해 17만원으로 78.9% 뛰었다. 이 밖에 대추(상품·14㎏)는 13만 5000원으로 35%, 배(신고 특품·15㎏)는 4.4% 오른 5만 9494원에 거래됐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2012-01-09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