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선생 선비정신과 삶 배우고 실천을”

“퇴계 선생 선비정신과 삶 배우고 실천을”

입력 2012-04-28 00:00
수정 2012-04-28 00: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동 도산 언덕에 퇴계 동상 제막

퇴계(退溪) 이황(李滉·1501~1570) 선생의 학문 수양의 자취가 어린 경북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 도산 언덕에 선생의 동상이 세워졌다.

이미지 확대
㈔도산서원선비수련원(이사장 김병일, 원장 김종길)은 27일 오후 수련원 앞뜰에서 퇴계 선생 동상 제막식을 가졌다.

동상은 높이 170㎝(기단 포함 전체 높이는 230㎝, 폭은 106㎝)로 퇴계 선생이 정자관(조선시대 사대부가 썼던 관모)을 쓰고 의자에 앉아 책을 펴든 모습이다. 평소 학문과 수양에 힘쓰던 선생의 면모를 담았다고 수련원 측은 설명했다. 동상 좌측면에는 퇴계 선생의 시에서 발췌한 글귀인 ‘소원 선인다’(所願 善人多·바라건대 착한 사람이 많아지길), 우측면에는 선생의 충효 정신을 바탕으로 한 글귀인 ‘사친이효 애국이충’(事親以孝 愛國以忠·효도로써 어버이를 섬기고 충성으로써 나라를 사랑한다)을 각각 새겼다. 작가 김태준씨의 작품이다.

동상의 용모와 형태는 앞서 1970년 퇴계 후손들의 자문을 거쳐 제작된 서울 남산공원의 퇴계 동상을 참고했다고 수련원 측은 밝혔다. 동상 건립지인 수련원은 퇴계 종택 뒤편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인근에 도산서원과 계상서당 등 퇴계 선생의 유적들로 둘러싸여 있다.

이 동상은 2009년부터 수련원에 정기적으로 임직원 연수를 위탁해 온 IBK기업은행(행장 조준희)이 연수 성과에 대한 고마움의 표시로 제작을 지원했다.

이날 제막식이 끝난 뒤에도 조 행장 등 은행 최고위 간부 30여명은 1박 2일 일정으로 체험 연수에 들어갔으며, 이날까지 이 은행의 임직원 985명이 수련원에서 연수를 받았다.

조 은행장은 “퇴계 선생의 선비 정신과 삶을 배우고 실천해 반듯한 도덕사회를 실현하는 데 조금이나마 기여하기 위해 동상을 헌성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안동 김상화기자 shkim@seoul.co.kr

2012-04-2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