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상권 살리는 ‘슈퍼닥터’ 만족도 84.5%”

“골목상권 살리는 ‘슈퍼닥터’ 만족도 84.5%”

입력 2012-07-08 00:00
수정 2012-07-08 11: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조사 결과…79.2% “실질적 도움됐다”

서울 관악구 은천동 대로변에 있는 D슈퍼는 올해 ‘슈퍼닥터’ 컨설팅을 받았다. 슈퍼닥터는 출입문을 2개로 늘리고 카운터 주변과 진열대 정리, 상품 재구성 등으로 가게 분위기를 바꿀 것을 건의했다. D슈퍼는 이를 반영한 후 고객 수와 매출 모두 10%씩 증가했다.

서울시는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2010년 도입한 중소슈퍼마켓 컨설팅 전문가인 슈퍼닥터의 상반기 만족도가 84.5%로 조사됐다고 8일 밝혔다.

이는 2010년 슈퍼닥터 제도를 도입하고서 매년 상ㆍ하반기 두차례씩 6번 실시한 만족도 조사 중 최고 수치다.

응답자들의 79.2%는 ‘실질적으로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가장 큰 도움을 받은 분야로 상품진열, 인테리어(52.6%), 청결 유지·관리(12.3%), 고객응대방법(10.5%) 등을 꼽았다.

만족도 조사는 올해 상반기에 슈퍼닥터의 컨설팅을 받은 109개 점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시는 하반기에도 슈퍼닥터를 통해 기업형 슈퍼마켓(SSM) 인근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중소슈퍼마켓(면적 300㎡ 이하) 191개를 선발, 9월부터 본격적인 컨설팅 업무를 시작할 예정이다.

시는 컨설팅과 더불어 점포 개ㆍ보수나 물품구매가 필요한 중소 슈퍼마켓에 연 1~2%까지 이자를 보전지원한다.

자세한 문의 및 신청은 서울신용보증재단 고객센터(☎1577-6119)로 문의하면 된다.

연합뉴스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오금란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노원2)은 지난 10일 서울시 복지실 행정사무감사에서 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실질적으로 돕는 보조기기 지원체계는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해 개선돼야 한다며, ‘휠체어를 탄 채로 탑승할 수 있는 장애인용 차량 제조 및 개조 지원’과 ‘휠체어 전용 백팩의 보조기기 편입’, ‘보완대체의사소통(ACC) 등을 제안했다. 1년에 2회, 새로운 보조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시스템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애인들이 필요로 하는 보조기기를 등록하기는 매우 어렵고, 반영되는 예산도 매우 부족하여 시대를 반영하는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장애유형별 요구가 받아들여지기 어려운 상황 또한 지적했다. 오 의원은 올해 9월 노원구에서 시행한 뇌병변장애인용 차량 개조 지원 사례를 소개하며 “휠체어에 타고 내리는 것조차도 스스로 할 수 없는 덩치 큰 뇌병변장애인을 보호자가 직접 안아서 들어올리지 않고 휠체어에 탄 상태로 탑승하는 차량으로 개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야말로 장애인의 욕구를 반영한 보조기기의 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어 오 의원은 “차 한 대 개조에만 약 6000만원이 소요돼 사실상 SUV 신차 구입비용과 비슷
thumbnail - 오금란 서울시의원 “실질적 수요 반영한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체계 개편 필요”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