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산수화 풍경’ 인왕산 수성동계곡 복원됐다

‘진경산수화 풍경’ 인왕산 수성동계곡 복원됐다

입력 2012-07-10 00:00
수정 2012-07-10 11: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역사경관 명소로 재탄생..11일부터 시민에 개방

겸재 정선이 그린 ‘진경산수화’의 배경인 인왕산 수성동(水聲洞) 계곡이 원형에 가깝게 복원됐다.

서울시는 종로구 옥인동 수성동계곡 복원공사를 완료하고 오는 11일부터 시민에 개방한다고 10일 밝혔다. 시는 2010년 옥인시범아파트 철거 과정에서 수성동계곡의 역사적 가치를 재발견하고 이곳을 문화재로 지정해 복원공사를 했다.

공사는 옛 수성동계곡처럼 암석 지형을 회복시켜 역사와 생태가 어우러진 역사문화 공간으로 조성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이를위해 소나무 등 나무 1만8천477그루를 심었으며 자연미를 살리기 위해 암반을 최대한 노출시켰다.

시민들이 겸재 정선의 시선으로 계곡을 즐길 수 있도록 정선이 그림을 그린 곳으로 추정되는 위치에 관람 공간도 마련했다.

수성동은 겸재 정선의 회화뿐만 아니라 추사 김정희의 시 ‘수성동 우중에 폭포를 구경하다’ 등 많은 문헌에 명승지로 소개돼 있다. 안평대군의 집(비해당)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시는 수성동계곡이 인왕산 서울성곽길(한양도성)과 함께 서촌지역의 대표적인 역사경관 명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사업에는 1천60억원(토지 및 건물보상 1천5억원, 녹지조성 및 수성동계곡 복원 55억원)의 예산이 투입됐다.

최광빈 서울시 공원녹지국장은 “최근 비가 내린 뒤 현장을 방문해보니 경관이나 물소리가 옛 선인들의 말씀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며 “개발시대에 사라졌던 수성동계곡이 상당한 비용과 시간을 들여 옛 모습을 되찾은 만큼 앞으로 서울의 역사경관 명소로 사랑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