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BK 가짜편지 사건 수사일지

BBK 가짜편지 사건 수사일지

입력 2012-07-12 00:00
수정 2012-07-12 14: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999.4 = 김경준, 서류상 BBK투자자문 설립(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본사)

▲ 〃 .10 = 김경준, BBK투자자문 한국지사 설립

▲2000.2 = 이명박·김경준 LKe뱅크 공동 설립(각 30억원 투자)

▲2001.1 = 김경준, 광은창투 인수. 옵셔널벤처스로 명칭 변경

▲ 〃 .4.18 = 이명박, LKe뱅크 대표이사 사임. 김경준과 결별

▲ 〃 .12.20 = 김경준, 옵셔널벤처스 자금 384억 횡령후 미국 도피

▲2002.2 = 검찰, 옵셔널벤처스 주가조작 및 횡령 혐의로 김경준에 대한 수사 착수

▲2003.5 = ㈜다스, 사기 및 횡령 혐의로 김경준 고발

▲2004.1 = 법무부, 미국에 범죄인 인도 요청

▲ 〃 .5.27 = 미국 FBI, LA 베버리힐스 자택서 김경준 체포

▲2007.11.16 = 김경준 LA공항서 체포영장 집행, 한국 송환

▲ 〃 .11.18 = 김경준 구속영장 발부

▲ 〃 .12.5 = 검찰 수사결과 발표, 이명박 후보 ‘BBK·다스’ 의혹 모두 무혐의, 김경준 특경가법상 횡령 등 구속기소. 김경준 누나 에리카 김 공모 혐의 기소중지

▲ 〃 .12.13 = 홍준표, 김경준 수감동료 신경화가 김경준에게 썼다는 편지를 기획입국설 증거로 주장

▲ 〃 .12.14 = 한나라당, 김경준 기획입국설 검찰 수사의뢰

▲ 〃 .12.17 = 이명박 특검법 국회 통과

▲ 〃 .12.19 = 이명박 후보 제17대 대통령 당선

▲2008.1.15 = 정호영 특별검사팀 BBK 의혹 등 당선인 의혹 수사 시작

▲ 〃 .2.17 = 특검팀 이명박 당선인 방문 조사

▲ 〃 .2.21 = BBK 특검 수사결과 발표, 이명박 당선인 ‘BBK·다스·도곡동 땅, 상암동 DMC 의혹’ 모두 무혐의

▲ 〃 .4.17 = 김경준 1심서 징역 10년, 벌금 150억원 선고

▲ 〃 .6.13 = 검찰,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김경준 추가 기소. 기획입국설 제기로 고소·고발당한 한나라당 의원들 무혐의·공소권 없음 처분

▲ 〃 .7.4 = 공직선거법 위반 등 혐의로 김경준에 징역 1년6월 추가 선고

▲2009.2.5 = 항소심서 횡령·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병합해 김경준에 징역 8년, 벌금 100억원 선고

▲ 〃 .5.28 = 대법원, 김경준 상고 기각. 징역 8년, 벌금 100억원 확정

▲2011.2.25 = 에리카 김 돌연 입국

▲ 〃 .2.26~27 = 에리카 김, 횡령·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소환조사

▲ 〃 .3.21 = 검찰, 에리카 김 수사결과 발표. 특경가법상 횡령혐의 기소유예. 증권거래법·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공소권 없어 불기소 처분

▲ 〃 .12.16 = 김경준, 가짜편지 작성자 신명씨와 그의 형 신경화씨 명예훼손 혐의로 옥중 고소

▲2012.1.19 = 가짜편지 관련 신경화 소환 조사

▲ 〃 .2 = 검찰, 가짜편지 실제 작성자로 알려진 신명 소환통보

▲ 〃 .3.23 = 홍준표 측, 공직선거법위반 혐의로 신명 고발

▲ 〃 .4.2 = 신명, 미국에서 귀국

▲ 〃 .4.3 = 신명 피고소인 신분 소환조사

▲ 〃 .4.17 = 가짜편지 작성 지시 의혹 받는 양승덕 경희대 관광대학원 행정실장 참고인 신분 조사

▲2012.4.26 = 김경준, 홍준표 명예훼손 혐의 고소

▲ 〃 .6.2 = 홍준표 고발인 겸 피고소인 신분으로 소환 조사

▲ 〃 .6.7 = 홍준표에게 가짜편지 전달한 은진수 전 감사위원 소환조사

▲ 〃 .7.12 = 검찰 기획입국설 관련 명예훼손 사건 수사결과 발표. 신명ㆍ신경화ㆍ홍준표 명예훼손 혐의 없음, ‘편지 작성 배후 없음’ 결론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