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관위 등 중앙부처 영문 홈피 ‘오류투성이’

선관위 등 중앙부처 영문 홈피 ‘오류투성이’

입력 2012-07-16 00:00
수정 2012-07-16 13: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앙선거관리위원회를 비롯한 중앙부처의 영문 홈페이지가 오류투성이여서 빈축을 사고 있다.

16일 부산시 명예 영어 통역관인 오용웅(70)씨가 선관위 등의 영문 홈페이지를 검색한 결과, 곳곳에서 황당한 오류가 발견됐다.

선관위의 경우 위치약도에 국사편찬위원회(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를 ‘National History Copilation Committee’라는 정체불명의 기관으로 표시했고 편찬(Compilation)이라는 단어에서도 ‘m’을 빼먹어 ‘Copilation’이라고 썼다.

또 관악산(Gwanak Mountain)을 나타내면서 산이라는 단어에서 ‘n’을 빠뜨리는 바람에 ‘Moutain’이 됐다.

과천경찰서(Gwacheon Police Station)는 ‘Gwacheon Police Department’로 잘못 표기했고, 지하철 하차역 ‘정부과천청사역(Gwacheon Government Complex Station)’은 ‘과천총사역(Gwacheonchongsa station)’이 돼버렸다.

런던 올림픽을 앞두고 국가대표 선수성명을 ‘성(姓) 이름’ 순서로 하고 이름은 붙여 쓰거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넣을 수 있다는 로마자 표기법을 따르기로 했지만 정작 대한체육회는 오류를 수정하지 않고 있다.

박용성 회장(Park Yong-sung, 또는 Park Yongsung)을 비롯한 전·현직 회장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의 이름을 ‘Yong-Sung Park’ 등으로 잘못 등재했다.

2000년 이 표기법을 고시한 문화체육관광부(당시 문화관광부)의 영문 홈페이지에도 최광식 장관의 성명(Choe Kwang-shik)이 ‘Choe Kwang Shik’으로 잘못 표기됐다.

서울시청 영문 홈페이지에서 박원순 서울시장의 영문이름(Park Won-soon)을 ‘Park Won Soon’으로 쓴 것도 같은 오류다.

국회의 한글 홈페이지에서는 국회소개를 ‘ASSEMBLY INTRODUCE(국회가 소개하다)’로 잘못 썼다.

또 19대 국회가 이미 개원했지만 ‘걸어온 길’에서 18대 국회가 빠져 있고, 영문 홈페이지에서는 의사일정을 소개하면서 ‘301회(301st)’, ‘262회(262nd)’ 등을 ‘301th’, ‘262th’ 등으로 잘못 표기했다.

세종시는 유한식 시장의 이름을 ‘Yoo Han Shik’으로 잘못 등재하고, 대한민국(the Republic of Korea)을 ‘South Korea’로 표시하기도 했다.

세종시는 또 위치정보에서 ‘경상북도(Gyeongsangbuk-do)’를 ‘Gyungsangbuk-do(?상북도)’라고 나타냈고, 연혁란에서 ‘통일신라(Unified Silla)’는 ‘연합신라(United Silla)’가 되고 말았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국토해양부(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의 영문명칭을 ‘Ministry of Land, Transportation and Marine Affairs’로 잘못 사용했고 ‘조치원(Jochiwon)’ 등의 지역명칭을 ‘Jo-Cheon(조천)’ 등으로 황당하게 표시했다.

연합뉴스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황철규 의원(국민의힘, 성동4)은 지난 13일 제333회 정례회 교육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가해학생에게는 관대하고 피해학생에게는 가혹한 학교폭력 조치 기준은 이제 바꿔야 한다”며 조치 기준의 전면 재검토를 촉구했다. 황 의원은 최근 심의 사례를 언급하며 “전치 2주의 상해를 입히고도 사회봉사에 그치는 약한 처분이 반복되고 있다”며 “피해학생이 다음 날 가해학생과 같은 학교에 등교해야 하는 현실은 잘못된 기준이 만든 구조적 문제”라고 지적했다. 현행 교육부의 ‘학교폭력 가해학생 조치별 적용 세부기준 고시’는 2016년에 제정된 이후 개정 없이 이어져 오고 있다. 황 의원은 “현재 조치 기준상 피해의 심각성이 크더라도 ‘일회성’으로 판단되면 강한 처분이 내려지기 어려운 구조”라며, 학교폭력 조치 기준이 10년 가까이 개선되지 않고 있는 점을 문제로 지적했다. 또 가해학생의 반성문·화해 노력 등이 조치 점수에서 과도하게 반영되는 점도 지적했다. 황 의원은 “반성문 몇 장만 제출해도 점수가 낮아져 중한 처분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구조”라며 “현재 조치 점수 체계는 가해학생 중심적이며, 피해학생 보호에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thumbnail - 황철규 서울시의원 “가해에 관대·피해에 가혹한 학폭 조치 기준, 이제 바꿔야”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