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원 아이들 찜통더위에 ‘헉헉’

보육원 아이들 찜통더위에 ‘헉헉’

입력 2012-08-02 00:00
수정 2012-08-02 01: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기료 부담”… 에어컨 가동 못해

지역아동센터와 보육원 등 아동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아동들이 찜통더위에 허덕이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나오는 지원금이 빠듯해 폭염 속에서도 에어컨을 가동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3도에 이른 지난달 31일 오후, 경기도 부천의 소사지역아동센터에는 대여섯 명의 중학생들이 거실에 모여 바둑을 두고 있었다. 선풍기 한 대를 켜 둔 거실에서 아이들은 손으로 흐르는 땀을 연신 훔쳐내고 있었다. 지난해 12월 문을 연 이 센터는 최근 2~3개월간 전기요금 등 각종 공과금을 내지 못했다. 배영옥 대표는 “운영비로는 전기료를 감당할 수 없어 에어컨이 있어도 켤 수가 없다.”면서 “자원봉사자들도 혀를 내두를 만큼 더운 날씨지만 아이들은 불평도 하지 않고 매일 이곳을 찾는다.”고 말했다.

여름철 지역아동센터가 ‘찜통’일 수밖에 없는 이유는 지원금이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역아동센터는 아동 수에 비례해 월 평균 395만원의 지원금을 받지만 교사 인건비와 프로그램 운영비를 빼면 남는 돈이 거의 없다. 또 소사지역아동센터처럼 설립한 지 2년이 넘지 않은 곳은 그나마 정부 지원금을 받지도 못한다. 2년간 민간에서 자비로 운영한 뒤 평가를 통과해야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이준섭 전국지역아동센터협의회 정책팀장은 “지역아동센터에 공공요금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어 여름철에 에어컨을 가동하지 못하는 곳이 많다.”고 말했다.

보육원도 마찬가지다. 보육원을 비롯한 아동양육시설에 각 지자체가 지급하는 관리운영비는 아동 1인당 7만~10만원 선. 교통비와 학용품비, 이·미용비, 영아 분유값 등이 모두 포함돼 줄일 수 있는 건 공공요금뿐이다.

서울의 한 보육원 관계자는 “에어컨을 틀지 않다가 아이들이 너무 힘겨워하는 데다 폭염 때문에 영아들의 건강도 걱정돼 낮시간에만 잠깐씩 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무더위 때문에 실내생활이 어렵다보니 보육원들은 물놀이·캠프·견학 등 외부활동을 늘려가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은 전기요금을 20% 할인받지만, 수십 명이 함께 생활하는 시설 전체에 에어컨을 가동하기에는 여전히 부담이 크다. 연말연시에는 적으나마 후원금이라도 들어오지만 여름에는 이마저 기대하기 어렵다. 노은경 서울시 아동복지시설연합회 사무국장은 “정부에서 전기요금을 지원해주거나, 전기요금을 추가로 할인해주면 그나마 사정이 좀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이새날 서울시의원 “광복 80주년의 희망을 음악으로”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오는 5일 낮 12시, 신촌세브란스병원 우리라운지에서 열리는 ‘2025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 여름연주회’에 앞서 특별 피아노 연주를 선보인다. 매년 학생 오케스트라에 참석해 의미를 더했던 이 의원은 이번 행사에서 ‘희망의 소리’를 주제로 사전 무대를 꾸미며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뜻깊은 시간을 마련할 예정이다.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전국 17개 시도 교육청 중 유일하게 서울시교육청이 직접 운영하는 학생 오케스트라로, 초·중·고 학생 76명으로 구성돼 있다. 올해 여름연주회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희망의 소리’를 부제로 열리며 애국가, 아리랑, 반달, 리하모니 고향의 봄, 도산 안창호 선생이 작사한 ‘거국가’도 연주곡에 포함돼 의미를 더한다. 연주회에 앞서 직접 피아노 연주로 무대를 여는 이 의원은 “음악은 학생과 시민 모두를 하나로 잇는 따뜻한 언어”라며 “광복을 기념하고 미래를 꿈꾸는 아이들의 목소리에 힘을 보태고자 연주를 준비했다”고 밝혔다. 연주회는 이튿날인 6일 오후 4시, 서울역사박물관 1층 로비에서도 이어지며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시민 누구나 관람할 수 있는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광복 80주년의 희망을 음악으로”

2012-08-02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