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부터 서울교통카드 분실해도 잔액 환불

12월부터 서울교통카드 분실해도 잔액 환불

입력 2012-09-03 00:00
수정 2012-09-03 11: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市, 혁신대책 추진…모바일카드 후불청구 등 도입

올해 12월부터 서울에서 교통전용 안심카드를 발급받으면 교통카드를 잃어버려도 충전잔액을 환불받을 수 있게 된다.

또 내년 상반기부터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모바일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다.

교통카드 독점 사업자인 ㈜한국스마트카드의 기술ㆍ경영 독립성이 강화되고 교통카드 데이터 수집 분야에 경쟁체제가 도입된다.

서울시는 교통카드 시스템의 공정한 운영과 높아진 시민 기대수준에 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이런 방향으로 ‘서울 교통카드사업 혁신대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시는 우선 교통카드를 잃어버려도 충전잔액을 환불받을 수 있는 ‘교통카드 분실ㆍ도난 안심 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 12월부터 교통 전용 안심카드를 발급받으면 환불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통카드 인프라 개선 사업이 끝나는 2014년부터 모든 교통카드로 확대할 계획이다.

스마트폰 이용자 3천만 시대를 맞아 모바일 교통카드 기능도 대폭 강화한다.

앞으로 모든 휴대전화 유심(USIM) 칩에 교통카드 기능을 탑재하도록 국내 이동통신 3사와 협의하는 등 모바일 교통카드 스마트폰 최적화 방안을 추진한다. 현재 이동통신사들은 교통카드 기능이 있는 유심(USIM)과 일반 유심을 구분해 판매하고 있다.

시는 또 2013년 상반기 싱가포르를 시작으로 홍콩, 일본(도쿄) 등의 국가에서 교통카드 앱을 다운로드받아 모바일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홍콩과 일본 등지에서는 2014년부터 국내 모바일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예상했다.

현재 모바일 교통카드는 선불을 내고 충전해야만 이용할 수 있지만 사용한 금액만큼 나중에 신용카드로 낼 수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시는 신용카드사와 협의를 조속히 마치고 연내 시행한다는 목표다.

교통카드 한 장에 다양한 요금 상품을 넣어 이용할 수 있는 다기능 탑재 모바일 교통카드 서비스 역시 제공한다.

현재 서울 지하철 1~8호선 268개 역사에 들어선 교통카드 서비스센터를 9호선과 수도권 역사로 확대한다. 교통카드 서비스 제공 편의점도 시내 전체로 확대해 잔액 환불 및 마일리지 충전 편의를 제공토록 할 예정이다.

시는 아울러 유일한 교통카드 사업자인 한국스마트카드사가 자체 기술력을 확보하고 사장 복수 추천제 도입 등을 통해 경영상 독립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장기 미사용 충전선수금의 사회환원도 지속적으로 실시해 한국스마트카드사의 공공성과 투명성을 높이기로 했다. 2011년까지 5년 이상 잠자는 충전선수금은 81억원에 달한다.

시는 이 밖에 교통카드 데이터 수집분야에 경쟁체제를 도입해 다수 업체가 참여할 기회를 제공할 방침이다.

한편 시는 그간 한국스마트카드사와 관련된 의혹들을 점검하고 교통카드 사업의 바람직한 운영방향을 찾기 위해 1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시의회ㆍ시민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하는 공청회를 개최한다.

연합뉴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