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의료관광산업 확대 놓고 찬반 ‘팽팽’

서울 의료관광산업 확대 놓고 찬반 ‘팽팽’

입력 2012-09-07 00:00
수정 2012-09-07 16: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원순 시장 “성형·뷰티 등 분야 수익 가능성 있어”

서울시가 의료관광산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할지를 검토하기 위해 마련한 숙의 자리에서 찬반의견의 팽팽하게 맞섰다.

서울시는 7일 오후 시장 집무실에서 박원순 시장, 의료업체와 관련 시민단체, 공무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의료관광 분야 숙의’를 열었다.

먼저 통일교 재단의 청심국제병원에서 성과를 발표했다. 병원 측은 “폭발적 한류에 맞춰 융복합형 의료를 통한 파생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며 “한국의 의료서비스 수준은 미국 대비 76%, 유럽 대비 86% 수준이며 피부과, 안과, 성형외과, 치과, 척추질환과는 경쟁력도 상당하다”고 소개했다.

박 시장이 ‘전문국제병원’의 존재에 관심을 가지자 장태수 서울의대 교수가 제동을 걸었다.

장 교수는 “가격 경쟁력은 동남아 국가에 밀리고 의료수준은 유럽에 밀리기 때문에 장밋빛 전망은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의료가 산업화되면 수익성 있는 국제병원에 좋은 의료진과 장비가 몰리는 등 양극화가 일어난다는 세계보건기구의 연구결과도 있다”며 “의료관광은 기존 병원의 대기시간이 길어 생긴 병리현상”이라고 강조했다.

그러자 이번에는 의료사업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강남구 측이 장 교수의 의견에 반박하고 나섰다. 강남구는 의료관광산업을 통해 치료를 받고 싶지만 신분공개를 꺼리는 환자, 미(美)와 관련된 뷰티클리닉 수요자 등 다양한 고객을 끌어오고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논리로 반격했다.

이에 공공운수노조의 현정희 부위원장은 “의료는 관광이나 상품이 될 수 없고 영리병원을 늘리는 선전문구일뿐이다. 박 시장이 이런 숙의를 하는 것 자체가 오해를 살 수 있다”며 “의사와 간호사가 매우 부족한데 사람에 대한 투자부터 해야 한다”고 재반박했다.

이처럼 찬반 양론이 팽팽하자 시장단은 의료관광산업 확대가 단순히 사업적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 가치의 충돌을 부를 수 있다는 점에 공감하고 후속 연구와 논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박 시장은 “의료관광산업이 수익이 되긴 되겠다. 아로마테라피나 성형은 공공성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덜하지 않나”라며 “국내 의료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해 정말 필요한 의료행위들을 찾자”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