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의회 끝없는 파행…남은 회기 19일

성남시의회 끝없는 파행…남은 회기 19일

입력 2012-09-16 00:00
수정 2012-09-16 1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의장선출 갈등, 회기 63일 낭비…시정 차질

의장 선출을 둘러싼 갈등으로 촉발된 경기도 성남시의회 파행 사태가 끝이 보이지 않은 채 지속되고 있다.

지난 석 달간 정쟁만 벌이다가 회기만 63일을 소진해 시정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성남시의회는 후반기 원 구성(부의장, 상임·특별위원장 선출)을 위해 지난달 27일 이틀 일정으로 제187회 임시회를 소집했다. 그러나 과반의석을 가진 새누리당 의원들의 집단 보이콧으로 회의를 진행하지 못하고 지난 15일 자동 산회했다.

의결정족수 부족으로 정상적인 회의 진행은 물론 폐회도 하지 못해 법정 임시회기(1회 20일)를 채우고서야 회기 소진을 막을 수 있었다.

파행 사태는 지난 6월 28일 소집된 제185회 임시회와 7월 2일 소집된 제186회 정례회에서도 반복됐다.

상습적인 파행으로 연간 회기 100일 중 남은 회기는 19일(정례회 11일, 임시회 8일) 뿐이다. 절반이 넘는 63일(정례회 39일, 임시회 24일)을 전혀 한 일 없이 낭비했다.

앞으로 시 집행부를 상대로 행정사무감사를 벌여야 하고 2조원에 이르는 내년 예산안도 심의해야 한다.

매년 연말 자정에 예산안을 처리할 정도로 시 집행부와 신경전을 벌여온 전례를 고려하면 예산안 심의 한 가지에도 부족한 일정이다.

이밖에 각종 조례와 추가경정예산 등 주요 정책 의결안과 민생 현안이 산적해 있다.

시의회 파행은 양당 대립으로 시작해 다수의석인 새누리당 내분으로 표출됐다.

새누리당 자체 경선에서 탈락한 최윤길 의장이 새누리당 이탈표와 민주통합당 몰표로 의장에 선출되자 새누리당이 “최 의장과 민주통합당의 밀실야합”이라며 등원을 거부했다.

이후 최 의장은 새누리당을 탈당했고, 이재호 의원은 새누리당 대표의원직을 사퇴하면서 갈등의 골은 더 깊어졌다.

새누리당은 파행의 책임을 의장과 민주통합당에 떠넘기면서 의장 사퇴와 민주통합당 사과를 요구하고 있으나 민주통합당은 다수당의 횡포라고 맞서고 있다.

의회는 열지 않고 의정비만 챙기는 상황이 장기화되자 비난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

성남참여자치시민연대는 의회 정상화, 의정비 반납, 양당의 사과를 촉구하는 100만 시민 서명운동을 선언하고 의회 파행을 주도한 의원의 주민소환운동을 벌이겠다고 경고했다.

연합뉴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