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한국 고대 불상 2점 발견

日서 한국 고대 불상 2점 발견

입력 2012-12-19 00:00
수정 2012-12-1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백제 청동 반가사유상·나말여초 철불 발굴

불교미술사 전공인 엄기표 단국대 교수가 일본에서 백제시대 청동 반가사유상과 통일신라 말에서 고려 초로 추정되는 철불 각 1점을 찾아냈다고 18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고려 초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결가부좌를 한 철불.  엄기표 단국대 교수 제공
고려 초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결가부좌를 한 철불.
엄기표 단국대 교수 제공
사가현의 히에이산 엔랴큐사 국보전에서 발견한 백제 청동 반가사유상.  엄기표 단국대 교수 제공
사가현의 히에이산 엔랴큐사 국보전에서 발견한 백제 청동 반가사유상.
엄기표 단국대 교수 제공
엄 교수는 김상현(동국대)·고정룡(일본 리쓰메이칸대학) 교수, 연민수(동북아역사재단) 박사 등과 함께 동북아역사재단이 지원하는 ‘일본 속의 고대 한 ·일 불교문화 조사연구’를 진행한 결과, 일본 천태종 총본산인 사가(滋賀)현의 히에이산(比叡山) 엔랴큐사(延曆寺) 국보전(國寶殿)에서 백제 반가사유상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전체 높이 12.8㎝이며, 대좌는 높이 4.6㎝에 너비 4.5~4.9㎝이다. 조사단에 따르면 이 반가사유상은 옷주름을 띠줄 무늬로 반복해서 넣은 원통형 대좌 위에 오른발은 왼발 무릎 위에 올려 반가좌를 한 보살을 표현했다.

엄 교수는 “이 불상은 조각 기법이 정교하지는 못하지만, 그 형식으로 보아 삼국시대, 특히 백제가 만들어 일본에 보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조사단은 또한 나라현 가쓰라기시(葛城市) 소재 다이마사(當麻寺) 부속 박물관 보물관에서 결가부좌를 한 철불 1점을 찾아냈다고 덧붙였다.

이 불상은 오른쪽 발목 위로 두 가닥의 두툼한 옷주름을 걸쳤으며, 무릎에는 굵은 음각선으로 옷주름을 표현했다. 전체 높이 81㎝, 너비 23.5~38.5㎝, 무릎너비 62㎝이다.

엄 교수는 “이런 옷주름은 통일신라시대부터 고려 초기까지 만든 불상에서 일반적으로 채용한 기법”이라면서 “손 모양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했다.”고 말했다. 이 불상은 다른 철불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유두를 크게 표현한 점이 이채롭다.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2-12-1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