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민 사교육비 가구당 월평균 114만원

서울 강남구민 사교육비 가구당 월평균 114만원

입력 2013-01-17 00:00
수정 2013-01-17 09:1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11년 현재…28% 월소득 500만원 이상7.6% 자녀 유학 경험…1인당 유학비 평균 4천857만원

서울 강남구에 사는 10가구 중 3가구 정도는 월 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이며, 사교육비로 가구당 월 평균 114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구청장 신연희)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한 ‘2011년 강남 사회지표’ 조사ㆍ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가구의 27.5%는 월 평균 소득이 500만원 이상이었다. 이는 2009년 조사 때의 34.4%보다 다소 줄어든 수치다. 이어 300만원 이상 400만원 미만(19.3%), 200만원 이상 300만원 미만(18%), 400만원 이상 500만원 미만(17.6%) 순으로 나타났다.

또 자신의 정치ㆍ경제ㆍ사회적 위치를 ‘중간 이상’이라고 생각하는 구민은 78%로, 2009년(85.2%)보다 낮아졌다.

구 관계자는 “강남도 전국적인 경기침체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반면 가구당 사교육비는 월 평균 114만원으로 나타나 2년 전(109만원)보다 5만원 늘었다.

월 소득 200만원 미만 계층에서는 월 평균 71만원을, 월 소득 1천만원 이상 계층에서는 월 160만원을 사교육비로 지출해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 자녀 1명당 사교육비는 월 평균 107만원이었다. 학력별로는 대졸 이상 가구주가 108만원을 지출해 고졸 이하 가구주(103만원)보다 다소 많이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를 해외 유학보낸 적이 있다고 응답한 가구는 전체의 7.6%로, 1인당 평균 유학비용은 4천857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2년 전 조사에서는 각각 12.8%, 5천787만4천원이었다.

사설학원은 1천965개로 집계돼 2010년(1천834개)에 비해 7.1% 늘었다. 인구 1천명당 사설학원수는 3.5개로 서울시(1.3개)의 2.7배 수준이었다.

2010년 기준 1인 가구 비율은 30%로, 서울시나 전국 비율(24%)보다 월등히 높았다. 1인 가구 중 여성 가구 수의 절반은 미혼이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비율은 78%로 서울시 평균(76%)을 약간 웃도는 데 반해, 노인인구 증가율(6.7%)은 전국(3.5%)보다 두 배 가까이 높아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만명당 병원 수는 의원이 서울시의 3.3배, 치과병(의)원이 2.5배, 한방병(의)원이 2배로 많았다. 특히 성형외과는 서울 전체의 72%에 해당하는 288개가 몰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환자 수는 2만4천535명으로 전년보다 28% 증가했으며, 외국인 숙박객 수는 103만2천665명으로 40% 늘었다.

연합뉴스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서울시의회(의장 최호정)는 오는 20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재정 여건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한정된 재원을 어떻게 배분하고 시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에 투자할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명의 재정 전문가가 서울시와 교육청 예산안을 각각 분석 발표하며, 서울시의원, 재정 전문가, 공무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방청을 희망하는 시민은 누구나 토론회를 참관할 수 있으며, 유튜브(‘서울시의회 토론회 제2대회의실’ 검색)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는 2011년부터 매년 개최됐으며, 본격적인 예산안 심사에 앞서 중점 투자방향, 분야별 재원배분, 신규·증감 사업을 분석하여 예산 효율화와 건전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지난 10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된 2026년도 서울시 예산안은 전년도 대비 5.4% 증가한 총 51조 4513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석과불식(碩果不食 碩果不食 : 큰 과실을 다 먹지 않고 남겨 자손에게 복을 준다)의 관점에서 서울시 예산안의 3대 투자 중점별(동행서울, 안전서울, 매력서울) 주요 사업과 8
thumbnail -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