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번째 국립공원 나오나”…백운산 지정 여부 관심

“22번째 국립공원 나오나”…백운산 지정 여부 관심

입력 2013-02-23 00:00
수정 2013-02-24 08: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6일 광양, 구례 동시 주민공청회…작년 11월 공청회 무산

전남 광양 백운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될지 초미의 관심을 끌고 있다.

전남도는 오는 26일 광양 마린 센터와 구례 종합사회복지관에서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을 위한 주민공청회를 연다고 24일 밝혔다.

공청회에서는 국립공원 지정 타당성 조사와 연구결과, 지정 및 관리계획안 발표, 전문가 패널 등의 토의, 주민 의견 수렴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번 공청회는 지난해 11월 광양과 구례 일부 주민들의 회의장 점거 등 반대로 무산된 뒤 다시 열리는 것이다.

당시 주민들은 재산권 제약, 임산물 채취 애로 등 피해가 크다며 반발했다.

백운산 국립공원 지정 추진은 지난 2010년 7월 광양시가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지정 건의를 하면서 출발했다.

관리공단은 광양시 건의에 따라 곧바로 산림 자연환경, 생태자원, 토지현황 등 타당성 연구 용역에 들어갔다.

국립공원 지정은 해당 지자체 의견 수렴과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국립공원위원회에서 최종 결정된다.

광양시는 2010년 서울대 법인화 이후 백운산이 학술림으로 넘어가는 것을 막고자 국립공원 지정을 건의했다.

국립공원이 되면 토지양도나 매각 시 환경부 동의가 필요해 서울대로의 무상양도는 사실상 어렵게 된다.

또 광양시와 지방의회, 지역 사회단체 등도 국립공원 지정에 대해 열의가 강한 만큼 이번 공청회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국립공원 대상 면적은 광양 72.3㎢(69.1%), 구례 28.3㎢(27.0%), 순천 4.1㎢(3.9%) 등 모두 104.7㎢다.

국립공원관리공단측은 백운산이 종(種)의 다양성과 면적, 보전상태 등을 따져볼 때 국립공원으로서의 조건을 충분히 갖춘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대는 해방 이후 동경대 연습림이었던 백운산과 지리산 일부가 포함된 남부 학술림을 그대로 넘겨받았으며 법인화 이후 서울대 재산으로 편입될 가능성이 커지자 광양과 구례 등 전남지역 주민들이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면적은 백운산의 46%인 110㎢와 지리산 52㎢ 등 모두 162㎢에 달한다.

백운산(白雲山.해발 1,218m)은 광양시 다압, 옥룡, 진상면 등에 걸쳐 있는 산으로 반야봉(般若峰)·노고단(老姑壇)·왕증봉(王甑峰)·도솔봉(兜率峰)등과 함께 소백산맥의 고봉으로 꼽힌다.

전남에서 지리산 노고단 다음으로 높다. 섬진강 하류를 사이에 두고 지리산과 남북으로 마주 보고 있다.

금천,성불,동곡,어치계곡 등 4대 계곡을 품고 있으며 학사대,용대,선유대 등 명소가 많다.

900여종의 다양한 식생이 잘 보존돼 있는 등 자연생태계 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으며 고로쇠 약수가 유명하고 도선국사가 창건했다는 백운사가 자리잡고 있다.

전국 국립공원에는 제1호인 지리산(1967년 지정) 등 20개(총면적 6580㎢)가 있으며 최근에는 무등산이 21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됐다.

연합뉴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