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기관 전산망 또 뚫려…잇단 사이버 공격

주요기관 전산망 또 뚫려…잇단 사이버 공격

입력 2013-03-20 00:00
수정 2013-03-20 17: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디도스 공격’ 등 대부분 北 소행 확인

20일 국내 주요 방송사와 일부 금융기관의 전산망이 일제히 마비되면서 국내 주요 기관 전산망의 보안 취약성이 다시금 확인됐다.

이날 전산망 마비는 ‘해킹에 의한 악성코드 유포’로 발생한 것으로 정부는 파악했다. 특정 세력이 사이버테러 등 의도를 갖고 공격을 시도하면 언제든 국내 주요 기관의 활동에 타격을 줘 큰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이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다.

최근 몇 년 사이 해킹을 포함, 국내 주요 기관 전산망에 장애가 발생한 사례는 굵직한 사건만 꼽아도 한해 여러 차례에 이른다.

2009년 7월7일부터 이틀간 감행된 이른바 7·7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공격이 대표 사례다.

경찰 조사 결과 당시 북한 체신성 컴퓨터 고유주소(IP) 대역의 PC가 전 세계 61개국 435대의 서버를 활용, ‘좀비 PC’ 27만대를 동원해 한국과 미국 주요 기관 등 총 35개 주요 사이트에 디도스 공격을 감행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공격으로 미국 백악관 사이트가 다운되고 청와대, 국회 등 국내 정부 기관과 주요 포털사이트 전산망에도 이상이 발생했다.

2011년 3월 발생한 이른바 3·4 디도스 공격도 청와대, 국회, 언론사 등 국내 40개 주요 사이트를 목표로 삼았다. 경찰은 이 역시 북한 소행으로 결론내렸다.

이어 불과 한 달 후에는 농협 금융전산망이 해커에게 뚫리는 최악의 전산사고가 발생했다. 검찰은 이 공격도 3·4 디도스 공격 때와 동일한 해외 경유지 서버가 활용됐고 악성코드 암호화 방식이 같다는 점 등을 들어 북한 소행으로 분석했다.

농협에서는 이후에도 같은 해 5월, 12월, 2012년 1월, 2월에 걸쳐 크고 작은 전산장애가 잇따라 일어나면서 고객에게 큰 불편을 줬다.

서울시장 보궐선거 당일인 2011년 10월 26일에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홈페이지가 디도스 공격을 받아 투표소 검색이 제대로 되지 않는 일이 벌어졌다.

’청와대 배후설’까지 불러일으킨 대형 사건이었으나 특검 수사까지 거친 끝에 결국 새누리당 일부 의원 비서들과 IT업자가 공모한 사건으로 매듭지어졌다.

지난해 6월에는 해커가 중앙일보 전산망에 침투, 홈페이지를 변조하고 신문제작시스템의 일부 자료를 삭제하는 일이 발생했다. 경찰은 공격 근원지를 추적한 결과 북한 체신성 IP를 확인하고 북 소행으로 결론지었다.

연합뉴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