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창업자 만나려 2500㎞ 달려… 몽상가라고요?”

“구글 창업자 만나려 2500㎞ 달려… 몽상가라고요?”

입력 2013-04-05 00:00
수정 2013-04-05 0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명중꿈코치硏 대표, 편지 120통 싣고 美 자전거 여행

“구글(Google) 창업주와 만나는 날이 반드시 올 거라고 믿습니다. 지금은 사람들이 저를 몽상가라고 부르지만 말이죠.”

서명중(45·명중꿈코치연구소 대표)씨는 자신을 꿈을 잃고 방황하는 사람들의 멘토라고 소개했다. 돌고 돌아 자전거 여행가라는 또 다른 직업을 가진 그는 한 달여간 미국 자전거 일주를 마치고 지난달 19일 귀국했다.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로부터 구글 본사가 있는 새너제이 실리콘밸리까지 2500㎞에 이르는 긴 여정이었다.

여행의 목표는 분명했다. 구글의 공동 창업주인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을 만나 자신이 구상한 ‘드림포스트박스 프로젝트’의 계획을 이야기하고 싶은 바람이었다. ‘많은 사람에게 선(善)한 영향력을 주라’는 가치를 지향했던 구글의 공동창업자라면 자신의 계획을 이해하고 도와줄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이다. 그가 말하는 드림포스트 프로젝트는 지구촌 모든 사람들이 꿈을 가져야 한다는 희망에서 시작됐다. 편지지에 자신이 원하는 꿈을 적고 그것이 이뤄졌을 때를 가정해 다시 미래의 자신에게 축하편지를 쓴다. 이렇게 쓴 축하편지를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면 한 사람의 프로젝트가 마무리 된다. 서씨는 “자신의 꿈을 정해 많은 사람에게 말하고 또 응원을 받으면 결국 이뤄지는 것이 꿈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결국 꿈을 통해 전 세계로 선한 영향력을 퍼뜨리는 것이 나의 꿈”이라고 말했다.

기업 컨설턴트였던 그는 5년 전 회사를 그만두고 자신의 꿈에 다가서기 위한 계획을 짰다. 일단 실현 가능성을 보여 주려고 미국에서 자전거 일주를 하며 만나는 사람들마다 꿈 편지를 받았다. 그렇게 모인 편지가 120여 통에 달한다. 한인 유학생들, 스탠퍼드·버클리 대학 등의 재학생들, 길거리에서 만난 이들은 자신의 꿈을 적고 사람들 앞에서 발표하며 꿈을 나눴다. 편지 속에는 “오스카 상을 수상하게 된 것 축하한다” “유명 프로듀서가 돼 K팝 아이돌을 만나게 되다니 놀랍다”는 등의 꿈들이 가득 찼다. 미국 대학 등 하루 80~100㎞씩을 일주하며 얻어낸 결과물이었다.

이렇게 모인 ‘꿈 편지’가 구글 본사에 전달됐지만 아직까지 연락은 없다. 서씨는 “많은 사람이 자신의 꿈을 타인의 눈으로 평가해 포기하는 일이 많다는 것이 안타깝다”면서 “누군가는 허황하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제 꿈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3-04-05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