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회로(CC) TV 화면부터 인공위성이나 무인헬기로 찍은 영상, 기상정보, 소셜네트워킹서비스(SNS) 정보까지 통합해 재난·안전사고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스마트 재난상황실을 만들기 위한 플랫폼이 구축됐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15일 이런 전자지도 기반의 스마트 재난상황실 플랫폼을 구축, 올해 시범가동을 거쳐 단계적으로 일반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스마트 재난상황실을 활용하면 기상이나 재난이력 등 각 정부기관이 보유한 국내외 재난정보는 물론 CCTV와 무인항공기,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찍은 영상과 위치기반 SNS정보 등 재난현장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종합해 원스톱으로 재난상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산불 발생 초기 현장 주변의 시민이 전송한 SNS 영상정보를 활용해 초동 대응을 한 뒤 CCTV나 무인헬기의 지상·항공 영상정보를 활용해 산불 진화나 대피를 진행하고 실시간 기상변화나 전자지도 등을 통해 산불 확산 상황이나 피해 추정 등을 하는 식이다.
그동안 재난·안전 사고가 발생하면 현장 정보는 주로 문서나 유선을 통한 상황 보고에 머물렀고 영상정보는 언론사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것을 수동적으로 받아보는데 그쳤던 데 비하면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이날 연구원을 찾아 “ICT(정보통신기술)와 스마트 기술을 재난·안전관리에 접목한 스마트 재난상황실을 활용하면 종합적인 상황 판단과 신속·정확한 의사 결정이 가능해 재난·사고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1997년 내무부 소속 국립방재연구소로 개소했고 작년 국립방재연구원으로 승격한 이후 올해부터는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돼 현재 이름으로 바꿨다.
연합뉴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15일 이런 전자지도 기반의 스마트 재난상황실 플랫폼을 구축, 올해 시범가동을 거쳐 단계적으로 일반에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스마트 재난상황실을 활용하면 기상이나 재난이력 등 각 정부기관이 보유한 국내외 재난정보는 물론 CCTV와 무인항공기, 스마트폰 등을 활용해 찍은 영상과 위치기반 SNS정보 등 재난현장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종합해 원스톱으로 재난상황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산불 발생 초기 현장 주변의 시민이 전송한 SNS 영상정보를 활용해 초동 대응을 한 뒤 CCTV나 무인헬기의 지상·항공 영상정보를 활용해 산불 진화나 대피를 진행하고 실시간 기상변화나 전자지도 등을 통해 산불 확산 상황이나 피해 추정 등을 하는 식이다.
그동안 재난·안전 사고가 발생하면 현장 정보는 주로 문서나 유선을 통한 상황 보고에 머물렀고 영상정보는 언론사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제공하는 것을 수동적으로 받아보는데 그쳤던 데 비하면 큰 변화를 가져오는 것이다.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이날 연구원을 찾아 “ICT(정보통신기술)와 스마트 기술을 재난·안전관리에 접목한 스마트 재난상황실을 활용하면 종합적인 상황 판단과 신속·정확한 의사 결정이 가능해 재난·사고로 인한 피해가 최소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1997년 내무부 소속 국립방재연구소로 개소했고 작년 국립방재연구원으로 승격한 이후 올해부터는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돼 현재 이름으로 바꿨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