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중고생 73.5% 사교육…월평균 42만5천원

서울 초중고생 73.5% 사교육…월평균 42만5천원

입력 2013-04-18 00:00
수정 2013-04-18 09: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부모 76% “교육비 부담”…중고생 42% “성적 스트레스”

지난해 서울 초·중·고등학교 학생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학부모 10명 중 8명 가량은 소득에 비춰볼 때 자녀 교육비가 부담스럽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통계청 등의 자료를 분석해 18일 발표한 ‘서울 교육분야 주요변화 및 시민 교육관 분석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초·중·고등학교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73.5%로 집계됐다.

 이들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42만5천원이다.초등학생은 31만8천원,중학생은 46만8천원,특수목적고를 제외한 일반 고교생은 60만3천원이다.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생 82.0%,중학생 72.7%,일반고교 학생 68.2%로 파악됐다.

 고교생의 경우엔 전문계고와 일반고를 모두 포함하면 월평균 사교육비가 58만4천원,사교육 참여율이 61.8%로 다소 낮아졌다.

 초·중·고교생 자녀를 둔 30세 이상 부모 가운데 76.4%는 공교육과 사교육을 포함한 자녀 교육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67.2%가 학원비 등 보충교육비,29.7%가 학교납입금이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고교 학생 가운데 41.7%는 평상시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또는 많이 느낀다’,41.4%는 ‘조금 느낀다’,16.9%는 ‘전혀 또는 별로 느끼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여학생(49.0%)이 남학생(34.9%)보다 높았다.중고교생의 스트레스 인지율(41.7%)은 19세 이상 성인의 30.6%를 웃돌았다.

 중고교생의 58.3%가 공부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라고 꼽았다.

 중고교생 10명 가운데 4명 가량은 수면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고교생의 평일 평균 수면시간은 6.2시간(남학생 6.5시간,여학생 6.0시간)으로 조사됐다.이는 미국 국립수면재단에서 권고하는 10~17세 청소년 권고 수면시간보다 2시간 부족하다.

 또 중고교생 24.1%(남학생 24.5%,여학생 23.6%)는 주 5일 이상 아침식사를 거르고 등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그럼에도,이들의 71.0%(남 76.3%,여 65.2%)는 자신이 건강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령인구(만 6~17세)가 감소한 탓에 초·중·고 학생 수는 116만2천명으로 학생 수가 가장 많았던 1989년(230만1천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초·중·고교의 전체 교원 수는 7만1천449명으로 10년 새 4천944명(7.4%)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교원 비중이 크게 높아져 초등학교(85.3%)와 중학교(69.0%)는 절반을 훨씬 웃돌고 고등학교는 46.8%에 달했다.

 전체 교원 가운데 학생을 가르치는 일반교사만을 보면 여교사 비율이 초등학교는 91.6%,중학교는 74.4%,고등학교는 47.3%로 파악됐다.

 교원의 연령분포를 보면 초·중·고등학교 50세 이상 교원 수는 2만1천310명으로 2002년 1만1천325명에 비해 10년 새 88.2% 증가했다.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5.5명,중학교 32.0명,고등학교 32.8명으로 1992년의 초등학교 48.2명,중학교 51.4명,고등학교 51.5명과 비교할 때 크게 줄었다.

연합뉴스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서울시의회(의장 최호정)는 오는 20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재정 여건이 어려워지는 가운데 한정된 재원을 어떻게 배분하고 시민 체감도가 높은 정책에 투자할 것인지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명의 재정 전문가가 서울시와 교육청 예산안을 각각 분석 발표하며, 서울시의원, 재정 전문가, 공무원 등이 토론에 참여한다. 방청을 희망하는 시민은 누구나 토론회를 참관할 수 있으며, 유튜브(‘서울시의회 토론회 제2대회의실’ 검색)를 통해서도 시청할 수 있다.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는 2011년부터 매년 개최됐으며, 본격적인 예산안 심사에 앞서 중점 투자방향, 분야별 재원배분, 신규·증감 사업을 분석하여 예산 효율화와 건전화 방안을 모색해 왔다. 지난 10월 31일 서울시의회에 제출된 2026년도 서울시 예산안은 전년도 대비 5.4% 증가한 총 51조 4513억원 규모로 편성됐다. 석과불식(碩果不食 碩果不食 : 큰 과실을 다 먹지 않고 남겨 자손에게 복을 준다)의 관점에서 서울시 예산안의 3대 투자 중점별(동행서울, 안전서울, 매력서울) 주요 사업과 8
thumbnail - 서울시의회, ‘2026년도 서울시·교육청 예산안 분석 토론회’ 개최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