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초중고생 73.5% 사교육…월평균 42만5천원

서울 초중고생 73.5% 사교육…월평균 42만5천원

입력 2013-04-18 00:00
수정 2013-04-18 09: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학부모 76% “교육비 부담”…중고생 42% “성적 스트레스”

지난해 서울 초·중·고등학교 학생 10명 가운데 7명 이상이 사교육을 받는 것으로 파악됐다.

 또 학부모 10명 중 8명 가량은 소득에 비춰볼 때 자녀 교육비가 부담스럽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가 교육부,한국교육개발원,통계청 등의 자료를 분석해 18일 발표한 ‘서울 교육분야 주요변화 및 시민 교육관 분석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초·중·고등학교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73.5%로 집계됐다.

 이들의 월평균 사교육비는 42만5천원이다.초등학생은 31만8천원,중학생은 46만8천원,특수목적고를 제외한 일반 고교생은 60만3천원이다.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생 82.0%,중학생 72.7%,일반고교 학생 68.2%로 파악됐다.

 고교생의 경우엔 전문계고와 일반고를 모두 포함하면 월평균 사교육비가 58만4천원,사교육 참여율이 61.8%로 다소 낮아졌다.

 초·중·고교생 자녀를 둔 30세 이상 부모 가운데 76.4%는 공교육과 사교육을 포함한 자녀 교육비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67.2%가 학원비 등 보충교육비,29.7%가 학교납입금이 부담스럽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중고교 학생 가운데 41.7%는 평상시 스트레스를 ‘매우 많이 또는 많이 느낀다’,41.4%는 ‘조금 느낀다’,16.9%는 ‘전혀 또는 별로 느끼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스트레스 인지율은 여학생(49.0%)이 남학생(34.9%)보다 높았다.중고교생의 스트레스 인지율(41.7%)은 19세 이상 성인의 30.6%를 웃돌았다.

 중고교생의 58.3%가 공부가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이라고 꼽았다.

 중고교생 10명 가운데 4명 가량은 수면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중고교생의 평일 평균 수면시간은 6.2시간(남학생 6.5시간,여학생 6.0시간)으로 조사됐다.이는 미국 국립수면재단에서 권고하는 10~17세 청소년 권고 수면시간보다 2시간 부족하다.

 또 중고교생 24.1%(남학생 24.5%,여학생 23.6%)는 주 5일 이상 아침식사를 거르고 등교하는 것으로 조사됐다.그럼에도,이들의 71.0%(남 76.3%,여 65.2%)는 자신이 건강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령인구(만 6~17세)가 감소한 탓에 초·중·고 학생 수는 116만2천명으로 학생 수가 가장 많았던 1989년(230만1천명)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초·중·고교의 전체 교원 수는 7만1천449명으로 10년 새 4천944명(7.4%) 증가했다.

 성별로는 여성교원 비중이 크게 높아져 초등학교(85.3%)와 중학교(69.0%)는 절반을 훨씬 웃돌고 고등학교는 46.8%에 달했다.

 전체 교원 가운데 학생을 가르치는 일반교사만을 보면 여교사 비율이 초등학교는 91.6%,중학교는 74.4%,고등학교는 47.3%로 파악됐다.

 교원의 연령분포를 보면 초·중·고등학교 50세 이상 교원 수는 2만1천310명으로 2002년 1만1천325명에 비해 10년 새 88.2% 증가했다.

 학급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25.5명,중학교 32.0명,고등학교 32.8명으로 1992년의 초등학교 48.2명,중학교 51.4명,고등학교 51.5명과 비교할 때 크게 줄었다.

연합뉴스

심미경 서울시의원, 경희여중 학교시설 안전 실태 점검

심미경 서울시의원(동대문2·국민의힘)이 전국에 폭염과 호우가 반복되는 가운데 동대문구 경희여자중학교(이하 경희여중)를 방문해 학교시설 안전 실태 점검에 나섰다. 경희여중은 현재 372명의 학생이 재학 중이며, 학생 안전을 위해 체육준비실 바닥 개선 공사, 소방시설 개선 공사, 교실 및 복도 바닥 개선 공사, 출입문 교체 개선 공사 등을 요청하고 있다. 심 의원은 안전 실태 점검에 나선 이유로 “유례없는 폭염과 폭우가 교대하면서 학교 안전시설에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현장의 시급한 안전시설 개선 조치뿐만 아니라 교육 환경 개선을 위한 예산 확보를 위한 노력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면서 관내 학교 안전 실태 점검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는 의지를 밝혔다. 이날 경희여중 교장은 “혹서·혹한으로 실외수업이 어려운 날이 많지만 실내체육관이 없는 형편으로 지하 트레이닝장을 체육교실로 이용하다보니 습기로 인한 곰팡이 냄새와 누수로 인한 악취가 발생해 개선공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하고 시급성이 높은 개선 사항들에 대한 지원을 요청했다. 심 의원은 앞서 7월,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자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과 함께 동대문구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현장
thumbnail - 심미경 서울시의원, 경희여중 학교시설 안전 실태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