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등록금 평균 667만8천원…3만1천원 ‘찔끔’ 인하

대학등록금 평균 667만8천원…3만1천원 ‘찔끔’ 인하

입력 2013-04-25 00:00
수정 2013-04-25 11: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년 인하율의 1/10수준 …상위 15개 대학 평균은 823만원에 달해

전국 4년제 대학의 2013학년도 등록금이 평균 0.46% 내렸다. 전년도 인하율의 10분의 1 수준이다. 수도권 대학의 등록금은 평균 750만원을 넘어 학부모들의 부담이 여전하다.

25일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3개교의 주요 공시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173개 4년제 일반대학의 2013학년도 연간 평균 등록금은 667만8천원으로 전년(670만9천원)보다 3만1천원(0.46%) 인하됐다.

2012학년도 등록금 인하율은 4.3%였다. 2년 연속 대학의 등록금 인하가 이어졌으나 이번 학년도 인하율은 전년의 1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사립대 등록금의 인하율이 0.47%로 국·공립대의 인하율 0.19%보다 컸다. 하지만 절대 액수에서 사립대는 733만9천원으로 국·공립대 409만6천원의 1.8배나 됐다.

지역별로 수도권 대학 등록금은 평균 759만3천원, 비(非)수도권은 621만9천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0.73%, 0.30% 내렸다.

대학별로는 을지대의 평균 등록금이 852만1천원으로 가장 비쌌다. 이어 연세대(850만7천원), 한국항공대(847만6천원), 이화여대(840만6천원), 추계예술대(838만7천원) 순이었다. 상위 15개 대학의 평균 등록금은 827만9천원에 달했다.

이번 학년도에 등록금 인하율이 가장 높은 대학은 칼빈대였다. 전년 700만2천원에서 이번에 664만1천원으로 5.2%나 내렸다. 안양대(-4.9%), 총신대(-4.7%), 성신여대(-4.6%), 대진대(-3.0%) 등도 등록금 인하 노력을 많이 했다.

이들 대학을 비롯해 135개교가 등록금을 인하했고, 19개교가 동결했다. 9개교는 명목 등록금이 동결됐으나 평균 등록금 산출공식에 따라 0∼1% 가량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학점 인플레’ 현상은 약간이나마 개선됐다.

지난해 8월과 올해 2월에 졸업한 학생들의 성적분포를 보면 A학점 33.2%, B학점 56.8%으로 B학점 이상 받은 이들의 비율이 90.0%에 달했다. 전년과 비교하면 0.3%포인트 감소했다. A학점 비율은 0.7%포인트 줄었으나 B학점 비율은 0.4% 포인트 늘었다.

학점 인플레는 사립대보다 국·공립대가 더 심했다. 국·공립대 졸업생의 B학점 이상 취득비율은 94.2%로 전년보다 0.3% 포인트 늘었다. 사립대는 88.8%로 국·공립대보다 비율이 낮을 뿐 아니라 전년과 비교해서도 0.4% 포인트 감소했다.

2012학년도 재학생이 B학점 이상 받은 비율은 71.9%로 전년보다 1.1% 포인트 감소했다. 국·공립대 73.3%, 사립대는 71.6%로 모두 1.2% 포인트, 1.0%포인트 줄었다.

올해 1학기 개설된 총 강좌수는 29만3천342건으로 지난해보다 1.8% 늘었다.

특히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비율이 37.6%로 1.7%포인트 증가했다. 이 비율은 2010년 30.4%에서 2011년 30.6%, 지난해 35.9%로 최근 늘어나는 추세다.

이와 달리 51명 이상 대규모 강좌는 이번 1학기에 16.8%로 전년보다 1.2%포인트 감소했다. 교육부는 대학 강의의 질 개선 노력이 지속됨에 따라 소규모 강좌가 증가하고 중대규모 강좌가 감소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임교원의 강의담당 비율은 58.4%로, 전년보다 3.1% 포인트 증가했다. 국·공립대는 56.3%, 사립대 58.9%로, 전임교원 비율은 국·공립대가 사립대보다 낮았다.

자세한 공시내용은 ‘대학알리미(www.academyinfo.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연합뉴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