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생 47% “일하는 엄마가 좋아”

초중생 47% “일하는 엄마가 좋아”

입력 2013-05-08 00:00
수정 2013-05-08 16: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좋은 이유 1위 ‘능력있는 엄마가 좋아서’

초중생의 거의 절반이 엄마가 일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여성능력개발원은 지난달 와이즈리서치와 함께 시내 초·중생 2천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일하는 엄마’가 좋다는 학생이 46.8%(943명)로, 싫다고 응답한 학생 31.8% 보다 많았다고 8일 밝혔다. 21.4%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일하는 엄마가 좋은 이유는 ‘능력 있는 엄마가 좋아서’란 답변이 34.9%로 1위였고 그 다음으로 ‘공부 등 학교생활에 도움이 돼서’(26.4%), ‘내 일에 간섭을 덜 해서’(12.3%), ‘용돈을 많이 줘서’(9.7%)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하는 엄마가 싫은 이유로는 ‘집에 오면 엄마가 없어서’가 39.4%였고 ‘나와 놀아줄 시간이 없어서’(13.7%), ‘숙제 등 학교생활을 돌봐주지 않아서’(13.2%)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싫은 이유에 대해서는 거주지에 따라 답변이 다르게 나타났다. 강북 아이들의 21.2%는 ‘나와 놀아줄 시간이 없어서’를 선택한 반면 강남 아이들은 8.2%만이 이 답변을 택했다.

일하는 엄마에 대한 이미지와 관련해선 긍정적인 답변이 대부분이었다.

멋있어 보인다(36.6%)거나 고급스러워 보인다(35.2%)는 이유가 주류였다. 50.1%는 ‘나도 크면 일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일하는 엄마가 좋다고 응답한 학생 가운데 60%는 현재 자신의 어머니가 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정적 이미지에 대해서는 ‘힘들어 보인다’에 65.2%의 학생이 동의해 직장과 가정이 양립하는 엄마의 애로를 아이들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엄마가 전업주부인 학생 가운데 ‘앞으로 엄마가 일한다면’이라는 질문에 28.4%가 찬성했으나 44.7%가 반대했다.

이중 초등학교 1학년의 59.5%는 반대라고 응답했지만 중학교 3학년은 45.1%가 찬성해 아이가 클수록 엄마가 일하기를 바라는 경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영옥 서울시여성능력개발원장은 “일하는 엄마의 모습이 아이의 직업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며 “여성이 마음껏 능력을 발휘하려면 공공보육제도와 근로시간 유연제 확대 같은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서울시의회 박석 의원(국민의힘, 도봉3)은 6일 부천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및 제26회 대한민국오늘문화대상’ 시상식에서 광역의정대상을 수상했다. 이번 시상식은 사단법인 대한민국연예예술인연합회(총재 남상숙, 이사장 황계호), 한국언론대표자협의회, 대한모델협회 등이 공동으로 주최·주관하며, 사회 각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실천해온 인물을 정례적으로 선정해 시상하는 행사다. 조직위원회는 박 의원이 지역 현안을 직접 챙기며 주민 삶의 질 향상과 지역 발전에 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특히 일상생활에 밀접한 교통체증 해소, 급수 환경 개선을 비롯해, 교육·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지역 맞춤형 정책을 추진해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는 점이 수상 배경으로 꼽힌다. 또한 저소득·다문화 아동을 위한 영어교실 출범을 위한 민·관 협력을 주도하고, 장애인 대상 나눔 행사 지원,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동행플라자 유치 등 지역 기반의 사회공헌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박 의원은 “2년 연속 수상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앞으로도 지역 곳곳의 어려움을 외면하지 않고, 자원봉사와 사회공헌의 가치를 실천하는 의정활동으로 서울시와
thumbnail - 박석 서울시의원, 2025 대한민국사회공헌대상 광역의정대상 수상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