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광주·전남 14개 공약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

정부, 광주·전남 14개 공약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

입력 2013-07-05 00:00
수정 2013-07-05 11:0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비, 지방비, 민자 등 방식…차기 정부로 넘어갈수도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대선 때 밝힌 광주·전남 14개 공약을 뒷받침할 사업이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된다.

재원은 국비와 지방비가 투입되며, 어려운 재정여건을 감안해 민간투자를 최대한 끌어들이기 위해 민간투자사업방식인 BTL(Build-Transfer-Lease)의 민간제안을 허용하고 BTL과 BTO(build-transfer-operate)를 섞는 혼합형 민간투자사업을 도입기로 했다.

기획재정부는 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지역공약 이행계획’을 확정, 발표했다.

기재부가 밝힌 광주지역 공약은 ▲자동차 100만대 생산기지 및 친환경 그린카 클러스터 지원 ▲세계적인 민주·인권·평화도시 구축사업 지원 ▲남해안 철도 고속화사업 단계적 추진 ▲광주 도심하천 생태복원사업 추진 ▲광주 외곽순환 고속도로 건설 추진 ▲아시아 문화중심도시에 부합한 문화예술산업 지원 ▲탄소중립 친환경도시 조성 추진 등 7개다.

전남지역 공약은 ▲KTX 송정-목포 건설사업 추진 ▲남해안 철도 고속화사업 단계적 추진 ▲전남-경남 한려대교 건설 적극 검토 ▲광양만권 미래형 소재산업 육성 ▲우주항공체험 관광명소 구축 추진 ▲광주-완도 고속도로 건설 추진 ▲동북아 해양관광특구 조성 지원 및 서남해안 관광레저도시 건설사업 지원 방안 강구 등 7개다.

기재부는 지역공약을 뒷받침할 광주·전남 각 11개 공약사업도 확정했다.

정부는 신규사업의 경우 사업 필요성이 검증된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 등 사전절차가 완료된 사업, 지역주민의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업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들 사업에는 국비·지방비·민자를 포함해 수십조원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회간접자본시설(SOC) 사업이 통상 10~15년 소요되고 재원 대부분이 본공사가 시작되는 4~5년 이후에 투입되는 점을 감안할 때 차기정부가 큰 부담을 떠안을 것으로 전망된다.

지자체의 재원 부담이 확대되는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무상보육 등 복지재원 소요 증가로 지자체의 재정여건이 열악해져 배분 여력이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기재부는 이와 함께 민간투자사업 활성화 방안도 내놓았다. 신규사업은 물론 이미 재정으로 추진예정인 사업이라도 민간투자(BTL·BTL+BTO)로 전환해 재정부담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BTL은 민간이 공공시설을 짓고 정부가 이를 임대해서 쓰는 방식이며 BTO는 민간이 시설을 건설하고 일정기간 직접 시설을 운영해 민간사업자가 사업에서 직접 수익을 거두는 방식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지역발전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높은 지역공약들이 제대로 추진될 수 있도록 지역별 특성화 발전을 지원하고 지역의 발전이 국가발전으로 연결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