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재기 뛰어내린 마포대교는 어떤 곳? 자살 1위’ 오명 도로 뒤집어쓰나

성재기 뛰어내린 마포대교는 어떤 곳? 자살 1위’ 오명 도로 뒤집어쓰나

입력 2013-07-26 00:00
수정 2013-07-26 16: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포대교(아래)에서 뛰어내리는 성재기 대표(위). / 성재기 트위터. 서울시 제공
마포대교(아래)에서 뛰어내리는 성재기 대표(위). / 성재기 트위터. 서울시 제공


성재기 남성연대 대표가 전날 예고한 대로 26일 한강 투신을 강행한 마포대교는 한강 다리 중 가장 많은 사람이 투신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해 7월 서울시는 마포대교를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다리로 조성해 ‘투신자 1위 다리’에서 ‘생명의 다리’로 탈바꿈시키겠다고 밝힌 바 있다.

지난해 기준 최근 5년간 한강다리에서 투신한 사람 933명이며 이 중 108명이 마포대교에서 투신을 시도했다.

서울시는 그 동안 한강다리 투신을 막기 위해 물리적 방법을 사용했으나 효과를 보지 못했다.

투신 방지벽 설치는 조망과 강풍시 안전성 등의 문제로 보류됐고 마포대교와 한남대교에 각각 4개의 자살방지 SOS 긴급상담 전화를 설치했으나 24건의 투신을 방지하는 데 그쳤다.

서울시는 삼성생명과 함께 마포대교 양 방향에 보행자의 움직임에 따라 조명과 함께 “밥은 먹었어?”, “지금 보고 싶은 사람 있어요? 한번만 다시 보고 와요” 등의 메시지가 뜨는 판을 설치했다.

지난 6월에는 시민들로부터 “바람 참 좋다”, “조금 늦는다고 속상해하지 마. 살아가면서 중요한 건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래” 등의 새로운 문구를 공모받아 설치했다.

이날 성재기 대표가 마포대교에서 한강 투신을 하자 일부 네티즌들은 “자살 방지를 위한 노력을 한순간에 무시해버린 처사”, “그 동안 죽어간 사람들, 앞으로 투신을 시도하는 사람은 눈꼽만큼도 생각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