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빈곤층 늘지만 서울시내 고급실버타운은 ‘완판’

노인빈곤층 늘지만 서울시내 고급실버타운은 ‘완판’

입력 2013-07-29 00:00
수정 2013-07-29 11: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양동 ‘더클래식500’ 입주율 100%

노인 빈곤층이 늘고 있는 가운데 서울시내 한 고급 실버타운이 입주율 100%를 달성했다.

건국대는 학교법인이 서울 광진구 자양동에 지은 주상복합형 실버타운 ‘더클래식500’이 준공 4년 만인 최근 380세대가 모두 입주해 입주율 100%를 달성했다고 29일 밝혔다.

183㎡(55.36평)짜리 최고급형 실버타운인 이곳에 입주하려면 부부 중 한 명이 60대 이상이면서 보증금 8억8천만원에 매달 180만∼220만원 상당의 비용이 필요하다.

380가구 입주민 총 600명의 평균 연령은 남성 77세, 여성 74세 등 평균 75.5세다. 빠른 고령화로 입주민의 평균 연령은 2년 전 70.7세보다 4.8세 높아졌다.

이들은 평균 자산이 50억원 이상에 이르고 3.5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다.

남녀 비율은 남성이 45%, 여성이 55%로 여성이 10% 포인트 더 높고 부부 입주민이 전체의 74%로 싱글보다 많다.

현재 또는 전직 직업은 경제계 종사자가 54%로 가장 많고 의료계 16%, 고위직 공무원 13%, 학계 9%, 법조계 4%, 언론계·문화 예술계가 2% 등 순이다.

직전 거주지역은 강남구·서초구 42%, 광진구 9%, 송파구 8%, 분당구·중구·시민권·영주권자 5% 등으로 나타났다.

더클래식500 관계자는 “나가려는 사람은 거의 없는데 대기자는 늘고 있고 ‘얼마나 기다려야 하느냐’는 문의도 많다”고 전했다.

고급 실버타운에 대한 이같은 수요는 노인층 내 빈부 격차의 단면을 보여준다는 해석도 나온다.

보건복지부가 지난달 공개한 기초노령연금 통계연보에 따르면 65세 이상 소득하위 70%에 주는 기초노령연금 수혜자는 지난해 393만명으로, 2011년 381만명, 2010년 372만명에 이어 해마다 늘고 있다.

더클래식500이 있는 광진구 내에서도 올해 현재 구내 만 65세 이상 3만5천539명 중 45.1%인 1만6천56명이 기초노령연금 지원 대상자다. 대상자 수는 작년보다 10% 가량 증가했다.

구청 관계자는 “최근 5년간 노년층 인구가 평균 0.5%씩 늘면서 지원·보호 대상자 수도 함께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윤신 한양대 고령사회연구원 원장은 “노년층 내 빈부격차 심화는 양극화하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불가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라며 “현재 우리나라는 노령 인구 급증으로 다양한 문제가 대두하는 과도기”라고 분석했다.

김 원장은 “빈곤 노년층 인구 증가를 유발하는 사회문화적 원인을 찾아 해결하고 기부문화 확산 등 부유층과 빈곤층이 함께 살 수 있게 하는 정책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