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주민등록인구 서울보다 200만명 많아졌다

경기도 주민등록인구 서울보다 200만명 많아졌다

입력 2013-08-05 00:00
수정 2013-08-05 08: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들어 전국 주민등록인구 11만6천여명 늘어

경기도의 주민등록인구가 서울보다 200만명 이상 많아졌다.

또 올해 들어 주민등록 총인구는 11만6천여명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5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7월말 현재 경기도의 주민등록인구는 1천218만1천553명으로 작년 말보다 8만8천254명 늘었지만, 서울시의 주민등록인구는 1천17만2천2명으로 작년 말보다 2만3천316명 줄었다.

이에 따라 두 지방자치단체 간 인구 격차는 200만9천551명으로 확대돼 처음으로 200만명을 넘어섰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도는 서울에 비해 인구가 200만명 넘게 많고, 면적은 17배인데도 경찰은 서울의 3분의 2, 공무원 수는 4분의 1 수준이어서 인구증가에 따른 행정이나 치안수요를 못 따라간다”고 말했다.

경기도 인구는 2003년 말 1천20만6천851명으로 1천만명을 처음 돌파하면서 서울시 인구를 넘어선 후 계속 늘어 서울시와 격차를 벌여왔다.

경기도 내에서도 수원시(1만8천568명), 김포시(1만6천401명), 용인시(1만5천504명), 남양주시(1만1천885명), 고양시(8천889명)의 인구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다음달 23일 경기도 내 4개 군(郡) 중 하나인 여주군이 시(市)로 승격되면 경기도는 3개군 28개 시 체제가 된다.

반면 서울시 인구는 지난 2003년 1천17만4천86명으로 경기도에 추월당한 후 증감을 거듭해왔지만 2010년 이후 3년 연속 감소세다.

서울시 내에서도 송파구(-6천268명), 종로구(-3천975명), 노원구(-3천844명), 강동구(-2천640명) 등의 인구 감소세가 가팔랐다.

전국의 주민등록 총인구는 5천106만4천841명으로 작년말보다 11만6천569명 증가했다.

작년 말보다 인구가 줄어든 시·도는 서울 외에 부산광역시(-5천490명), 전라남도(-3천590명), 대구광역시(-2천40명), 경상북도(-1천907명), 강원도(-1천771명) 등 6곳이다.

작년 말보다 인구가 늘어난 시·도는 경기도 외에 인천광역시(2만970명), 충청남도(1만891명), 제주도(5천909명), 대전광역시(5천643명), 울산광역시(5천509명), 경상남도(5천10명), 세종시(4천252명) 등이다.

연합뉴스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13일 서울글로벌센터빌딩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임춘대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주한 카타르 대사 등 각국 외교관과 홍콩투자청 등 해외 투자 기관 관계자 및 자본가들이 참석해 서울투자진흥재단의 성공적인 출발을 기원했다. 김 의원은 재단의 출범을 위한 준비위원회에서 활동했던 경험을 회상하며 “공식 기관 명칭이 ‘서울투자청’이었으면 좋았겠지만, 오늘 출범하게 되어 감회가 새롭다”라며 소회를 밝혔다. 그는 세계 도시 경쟁력 6위인 서울의 잠재력을 언급하며 “서울투자진흥재단이 세계가 서울로 향하는 길에 든든한 길잡이가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재단이 이사장 이하 구성원들의 풍부한 경험과 인베스트서울의 선험적 경험을 바탕으로 K-금융과 K-뷰티 산업의 글로벌 투자 유치 플랫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실질적인 성과물을 만들어낼 것을 강조했다. 한편, 김 의원은 재단 고위 관계자로부터 재단의 오늘이 있기까지 그간의 김 의원 역할에 감사를 표한다는 전언을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서울투자진흥재단 출범식 참석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