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속 ‘찜통교실’…학생들 “집중 안되고 짜증”

폭염속 ‘찜통교실’…학생들 “집중 안되고 짜증”

입력 2013-08-14 00:00
수정 2013-08-14 13: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업시간은 부채질, 쉬는 시간엔 아이스크림 ‘열기’

이미지 확대
지난 12일 개학한 강원 홍천중학교의 교실이 찜통더위로 13일부터 임시 휴업에 들어가면서 텅 비어 있다. 학교 측은 학생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전력난을 고려해 내주 19일부터 수업을 재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지난 12일 개학한 강원 홍천중학교의 교실이 찜통더위로 13일부터 임시 휴업에 들어가면서 텅 비어 있다. 학교 측은 학생의 건강권을 보장하고 전력난을 고려해 내주 19일부터 수업을 재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낮 최고기온이 33도까지 치솟은 14일 서울 광진구 자양동에 위치한 광양고등학교.

불볕더위와 내리쬐는 햇볕 아래 운동장에는 학생들이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그나마 교실은 에어컨이 가동돼 실내 온도가 26도 가량으로 내려가 활동할 만 하지만 30여명의 학생이 한곳에 모여 있다 보니 텁텁한 것은 마찬가지다.

학생들은 교복 대신 비교적 시원한 생활복을 입고 수업시간 내내 부채를 부치거나 얼음물을 마시면서 더위를 이겨보지만 계속 땀이 나고 책은 좀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이화영(17) 양은 “에어컨을 틀었지만 바람이 잘 오지 않는 자리는 짜증이 날만큼 덥다”며 “계속 부채질을 하니깐 공부에 집중이 안 되고 덥다는 생각만 든다”고 말했다.

활동이 많은 남학생은 더 고역이다.

지난해 고장 난 에어컨을 미처 못 고쳤는데 무더위가 닥치는 바람에 선풍기 두 대로 버티는 반도 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쉬는 시간이 되면 학생들은 우르르 매점으로 달려가 너나 할 것 없이 아이스크림이나 시원한 음료수를 사먹는다. 쉬는 시간이지만 운동장에서 뛰노는 학생은 없고 삼삼오오 그늘에 앉아 있거나 바로 교실로 들어간다.

최동일(17) 군은 “반에 에어컨이 고장 나 그야말로 찜통”이라며 “쉬는 시간마다 내려와 아이스크림을 사먹는 친구도 있다”고 말했다.

이정애 한문 교사는 “학교에서 최대한 배려를 해주고 있지만 워낙 날씨가 덥고 학생들이 한곳에 모여 있다 보니 어떤 반은 들어가면 후끈한 열기가 느껴질 때가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광양고는 개학 직후 매 교시 수업시간을 50분에서 30분으로 20씩 단축수업하고 있다. 이날도 모든 수업이 오후 1시 30분에 끝났다.

권재원 2학년 부장 교사는 “단축 수업과 순환 냉방을 시행해 학생들이 조금이나마 더위를 이기고 학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교육청은 각 학교에 하루 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지속되면 단축수업, 35도 이상인 상태가 이틀 이상 이어지면 임시휴업을 검토하라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