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9일 열리는 제67회 서울대 후기 졸업식에서 졸업생 2400여명을 대표해 홍야나(24)씨가 졸업 연설을 한다. 러시아 출신 고려인 3세다.
“나는 완전한 한국인도, 완전한 외국인도 아니라는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경계를 넘어서 두 나라의 문화를 경험한 게 큰 장점이라는 걸 깨달았어요.”
서울대는 28일 점점 다양해지는 학생 구성을 반영한다는 취지에서 홍씨를 졸업생 대표로 뽑았다고 밝혔다.개교 이래 외국 국적 학생이 졸업생 대표로 뽑히기는 처음이다.
홍씨는 “두렵기도 하고 기쁘기도 하다”면서 “학교 다닐 땐 ‘빨리 졸업해야지’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졸업식이 다가오니 더는 학생이 아닌 게 아쉽다”고 말했다.
국문과 08학번인 홍씨가 한국 대학에 진학한 것은 자신의 뿌리를 찾고 싶어서였다. 그는 “고등학교 때부터 유학을 가고 싶었는데 고려인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았다”면서 “한국이 어떤 나라인지,한국인은 어떤 사람들인지 알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국을 제대로 배우겠다는 생각에 전공은 국문학을 선택했다. 홍씨에게 가장 두려운 존재는 ‘한국어’였다. 때문에 초반에는 언어장벽에 부딪혀 친구를 사귀기 어려웠고, 수업내용도 알아들을 수 없었다. 노는 것도 쉽지 않았다.
그러다 학내에서 여러 활동에 참여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학교생활에 재미를 붙였다. 학교생활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실력도 늘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는 비슷한 처지의 유학생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었던 서울대 외국인학생회(SISA) 활동을 꼽았다.
홍씨는 “외국인이라고 다 같은 외국인이 아니라는 걸 알게 돼 흥미로웠고, 문화가 달라도 한국에서 공부하는 유학생으로서 서로 공감하는 부분이 많아 학교생활에 큰 힘이 됐다”라고 말했다.
현재 대우인터내셔널에서 인턴사원으로 근무 중인 홍씨는 졸업 후에도 계속 한국에서 일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국과 러시아를 모두 경험한 자신의 장점을 살리겠다는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나는 완전한 한국인도, 완전한 외국인도 아니라는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하지만 경계를 넘어서 두 나라의 문화를 경험한 게 큰 장점이라는 걸 깨달았어요.”
서울대는 28일 점점 다양해지는 학생 구성을 반영한다는 취지에서 홍씨를 졸업생 대표로 뽑았다고 밝혔다.개교 이래 외국 국적 학생이 졸업생 대표로 뽑히기는 처음이다.
홍씨는 “두렵기도 하고 기쁘기도 하다”면서 “학교 다닐 땐 ‘빨리 졸업해야지’라고 생각했는데 막상 졸업식이 다가오니 더는 학생이 아닌 게 아쉽다”고 말했다.
국문과 08학번인 홍씨가 한국 대학에 진학한 것은 자신의 뿌리를 찾고 싶어서였다. 그는 “고등학교 때부터 유학을 가고 싶었는데 고려인이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한국에 대해 궁금한 점이 많았다”면서 “한국이 어떤 나라인지,한국인은 어떤 사람들인지 알고 싶었다”고 말했다.
한국을 제대로 배우겠다는 생각에 전공은 국문학을 선택했다. 홍씨에게 가장 두려운 존재는 ‘한국어’였다. 때문에 초반에는 언어장벽에 부딪혀 친구를 사귀기 어려웠고, 수업내용도 알아들을 수 없었다. 노는 것도 쉽지 않았다.
그러다 학내에서 여러 활동에 참여하고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학교생활에 재미를 붙였다. 학교생활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어 실력도 늘었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일로는 비슷한 처지의 유학생 친구들과 교류할 수 있었던 서울대 외국인학생회(SISA) 활동을 꼽았다.
홍씨는 “외국인이라고 다 같은 외국인이 아니라는 걸 알게 돼 흥미로웠고, 문화가 달라도 한국에서 공부하는 유학생으로서 서로 공감하는 부분이 많아 학교생활에 큰 힘이 됐다”라고 말했다.
현재 대우인터내셔널에서 인턴사원으로 근무 중인 홍씨는 졸업 후에도 계속 한국에서 일하고 싶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국과 러시아를 모두 경험한 자신의 장점을 살리겠다는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