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에 빠진 서울…미혼 여성 더 심해

우울증에 빠진 서울…미혼 여성 더 심해

입력 2013-10-21 00:00
수정 2013-10-21 07: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시 1만8천여명 조사…미혼·여성 > 기혼·남성



서울거주자들이 평균적으로 경증 우울 증상이 있으며, 우울 정도는 젊을수록 높은 것으로 검진됐다. 서울거주자의 우울 정도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기혼보다는 미혼이 높았다.

서울시는 작년 9월부터 1년간 우울증 자가프로그램인 마인드스파 홈페이지(http://www.mindspa.kr)에서 우울증 자가테스트에 참여한 서울거주자 1만8천745명을 분석한 결과, 우울 정도를 재는 평균검진점수가 33.07점으로 나타났다고 21일 밝혔다.

우울증 자가테스트 결과 0∼20점은 정상이지만, 21∼40점은 경계 및 경증우울증, 41∼60점은 우울증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경증 우울증은 우울증에 해당하는 주요 증상인 우울한 기분이나 의욕저하는 있지만, 지속기간이 2주보다 짧을 때를 말하며 마치 스위치를 켰다 끄는 것처럼 일정기간 동안 정기적으로 우울해지거나 어떤 사건이 분명한 계기가 되면 우울증을 경험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경증 우울증이 주요 우울 장애보다 배 이상 많다.

서울거주자는 연령,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경증우울증군에 속했다.

연령별로는 20대(34.13점)가 가장 우울 정도가 높았으며, 10대(34.02점), 30대(32.38점), 40대(30.12점), 50대(26.78점), 60대(25.63점), 70대 이상(25.50점) 순이었다.

우울정도는 남성(30.59점) 보다는 여성(34.16점), 기혼(30.7점)보다는 미혼(33.6점)이 높았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문헌·전문가 조사를 통해 경증 우울증 자기관리법으로 독서, 명상, 컴퓨터 자기관리 프로그램, 운동, 유머와 즐거운 활동, 아로마 요법, 광선 요법 등을 제시했다.

서울시는 경증 우울증 해소를 위해 이 중 유머를 제외한 6가지의 실천을 돕는 ‘블루터치 365키트’를 제작, 정신건강 캠페인이나 이벤트에 참여하는 시민과 마인드스파 홈페이지의 우울증 자가프로그램을 끝낸 사람에게 나눠줄 예정이다.

문의는 서울시 보건의료정책과(☎02-2133-7547)나 서울시 정신건강증진센터(☎02-3444-9934, 내선 261∼262)로 하면 된다.

연합뉴스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6일 서울역사박물관 1층 로비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학생필하모닉 여름연주회’에 참석해 도산 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협연 무대를 시민들과 함께했다. 이날 연주회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교육청이 주최하고,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가 협연하는 특별 공연으로 기획됐다. 서울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열린 음악회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서울의 역사적 공간인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이 작사한 ‘거국가’가 연주되는 뜻깊은 무대가 마련됐다. 이 의원은 “도산 선생이 남긴 애국의 정신과 교육 철학이 오늘의 청소년들에게 음악이라는 언어로 되살아나고 있다”라며 “서울의 중심에서 시민과 함께하는 이번 음악회가, 기억의 울림이자 희망의 시작이 됐다”고 전했다.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전국 유일의 교육청 직영 학생 오케스트라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7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창단 이후 매년 정기 공연과 지역 연주회를 통해 서울시민과 예술로 소통해왔다.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는 도산 선생의 애국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구성된 전문 관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