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2013 한국인의 의식·가치관 조사
우리 국민 10명 중 7명은 아들보다 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스로를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10명 중 4명에 불과했다. 정부 통계조사에서 자신을 중산층으로 여기는 국민의 비율이 50% 이하로 떨어진 것은 처음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정부 통계 사상 ‘중산층 50%’ 마지노선이 처음 깨졌다.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43.9%로 2009년 통계청 사회지표 조사치(54.9%)와 올해 통계청 조사치(51.4%)보다 크게 떨어졌다. 반면 가정 경제 수준이 중산층보다 ‘낮다’는 답변은 50.9%로 처음으로 절반을 넘었다. 통계청의 2009년(42.4%)과 올해 조사치(46.7%)에 비해 꾸준히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양극화에 대해서는 86.9%가 ‘심각하다’고 답했고 우리나라의 경제 수준 대비 사회복지 수준이 ‘낮다’는 의견(64.3%)이 ‘높다’는 응답(35.7%)보다 2배 가까이 많았다. 우리 사회가 당면한 가장 심각한 문제로는 ‘일자리 부족’(44.6%)이 꼽혔다. 2006년 조사에서 ‘일자리’를 당면 과제로 꼽은 비율은 9.1%였다.
국민의 행복과 가치에 대한 의식 수준은 점차 선진국형으로 탈바꿈했다. 국민의 행복 수준은 10점 만점에 6.9점으로 2008년 조사와 같은 수준이었지만 행복을 결정하는 기준은 가족이었다. 행복한 삶을 위한 분야별 중요도를 묻는 10점 척도 질문에서는 ‘건강’(9.4점), ‘배우자’(8.9점), ‘자녀’(8.6점)가 ‘소득이나 재산’(8.6점), ‘직장 생활’(8.4점) 등을 앞섰다. 더 좋은 사회가 되기 위해 필요한 가치로는 ‘타인에 대한 배려’라는 응답이 10점 만점에 평균 8.7점으로 가장 높았다.
남녀평등에 대한 체감도는 눈에 띄게 높아졌다. 우리 사회가 남녀평등 사회라고 답한 사람은 53.4%로 2008년(30.4%)보다 크게 늘었다. 이상적인 자녀 수는 2006년, 2008년과 마찬가지로 2.4명으로 조사됐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3-12-19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