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구 사는 이유…16.7% “교육 때문에”

서울 강남구 사는 이유…16.7% “교육 때문에”

입력 2013-12-26 00:00
수정 2013-12-26 08: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60% 가구소득 500만원 이상…가구주 65.6% 대졸

서울 강남구 주민 여섯 명 중 한 명은 교육 때문에 현재 거주지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강남구 가구 약 60%는 월소득이 500만원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3 강남구 사회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 9월 2∼16일 2천개 표본가구의 만 15세 이상 가구원 5천여명을 대상으로 면접방식으로 이뤄졌다.

조사 결과 강남구 가구의 소득은 ‘500만∼1천만원 미만’이 50.8%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1천만원 이상 소득층은 7.1%, 300만원 미만은 16.8%로 조사됐다.

직업은 10명 중 3명(29.5%)이 ‘사무종사자’이고 ‘주부’(19.4%), ‘학생’(16.7%)이 뒤를 이었다.

만 15세 이상 강남구민 중 여성은 52.6%로, ‘주부’가 36.7%로 가장 많았다.

강남구 역시 서울시 전체와 비슷하게 네 가구 중 한 가구(26.2%)는 1인 가구였다.

가구주의 65.6%는 대졸 학력이고 54.6%는 ‘유자녀 가구’였다. 유자녀 가구 비중은 지난 2011년 조사 때의 76.4%에 비해 크게 낮아졌다. 사는 곳은 아파트(57.6%)가 반이 넘었다.

강남구에 거주하는 이유를 묻자 16.7%는 교육여건을 일 순위로 꼽아, 자녀 교육을 이유로 강남구를 선택한 주민이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옛날부터 살아와서’라는 대답이 30.6%로 가장 많았고 ‘사업상 또는 직장 때문에’가 20.2%였다.

강남구 주민의 평균 거주기간은 16년이고 약 4명 중 1명은(23.1%) 25년 이상 장기거주자였다.

10명 중 8명 이상은 10년 후에도 강남에 살고 싶다고 했다.

가계에 가장 부담이 되는 지출항목으로 ‘교육비’(22.8%), ‘주거비’(16.9%), ‘식비’(16.3%), ‘경조사비’(14.1%)순으로 꼽았다.

갑자기 물가가 크게 오르면 먼저 지출을 줄일 항목으로 ‘식료품/비주류 음료비’(22.1%)와 ‘의류/신발비’(20.2%)라는 답이 많았다.

강남구 10가구 중 9가구는 디지털TV(92.0%), 스마트폰(88.7%), 컴퓨터(87.5%)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1년 조사와 견줘 디지털TV 보유율은 다소 증가한 반면(85.8%→92.0%), ‘일반전화’(88.5%→53.0%)와 ‘스마트폰을 제외한 이동전화’(73.1%→20.7%) 보유율은 35%포인트 이상 하락했다.

주된 여가활동은 ‘TV 또는 비디오(DVD) 시청’(39.1%)이었고 ‘컴퓨터 게임·인터넷 검색’(10.8%), ‘문화예술 관람’(10.3%), ‘운동’(10.3%), ‘여행, 야외 나들이’(9.4%) 등이 뒤를 이었다.

이번 사회조사는 지난 2007년부터 2년마다 실시하며 올해가 4회째다.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서울시의회 서준오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4)이 지난 25일 SH서울주택도시개발공사(SH공사)의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첫 대상지인 노원구 공릉1단지아파트를 찾아 저장강박 의심세대 거주환경 개선과 특별 소독에 직접 참여했다. 이번 시범사업은 공릉1단지 임대단지 내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로 인하여, 인접 거주 세대 및 공용공간 위생이 불량해진다는 민원이 다수 발생함에 따라 SH공사에서 예산을 투입하여 진행했다. 공릉1동 주민센터 및 지역사회 자원봉사자 약 15명과 함께 서준오 의원, 그리고 공릉동을 지역구로 둔 오금란 의원(더불어민주당·노원2)이 구슬땀을 흘렸다.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공릉1단지 아파트는 1994년 12월에 입주한 총 1395세대가 거주하는 SH공사의 영구임대 아파트이다. 지어진 지 30년이 되어 주거환경이 열악한 상태인 탓도 있지만, 일부 저장강박 의심세대의 세대 내 과다한 적치물과 소독거부로 인한 해충 발생, 번식이 주변 주민들을 힘들게 하고 있었다. 서 의원은 매주 일요일, 우원식 국회의장(서울노원구갑)과 함께 노원구 3곳에서 현장민원실을 운영 중인데, 공릉1단지 방역이 필요하다는 민원도 여기에서 접수되었다. 유사한 민원이 지속
thumbnail - 서준오 서울시의원, 공릉1단지 주거위생 개선 시범사업 직접 참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