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주점에서 흑인 피부색을 연상시키는 이름의 치킨을 팔아 인종 비하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26일 관련 업계와 트위터 등에 따르면 서울 이태원의 한 주점에서 ‘흑형 치킨’이란 이름의 치킨 메뉴를 여러 달째 팔고 있다. ‘흑형’은 ‘흑인 형’을 줄인 말로, 일반적으로 젊은 층 사이에서 건장한 흑인 남성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출처:인터넷 게시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출처:인터넷 게시판
이 치킨 메뉴가 ‘흑형 치킨’인 이유는 일반 치킨과는 다른 검은색 양념의 튀김 옷 때문이다.
독특한 외양 덕분에 소문을 타면서 이태원에서 명물이 됐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서 19년째 살고 있다는 한 외국인이 자신의 트위터에 “할 말이 없다. 이 술집 주인은 제 정신인지 궁금하다”며 강한 불쾌감을 표현하면서 특정 인종 비하 논란으로 번졌다.
’외식의 품격’ 저자인 이용재 음식평론가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이 치킨은 ‘흑인은 까맣다’라는 공식을 가져다 붙인 셈인데 일단 이것만으로도 써서는 안 되는 표현이다. 옐로(황인종), 레드(미국 원주민) 등 피부색 지칭 표현은 인종차별 및 비하를 뜻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작년 한 골프선수가 타이거 우즈에게 ‘프라이드 치킨을 대접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말해 인종차별 논란에 휩싸인 적이 있다”며 “치킨은 흑인들이 즐겨먹는 음식이라는 선입견이 강하기 때문에 흑인과 치킨을 연관시킨 것은 더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에 반해 ‘흑형’이라는 단어가 흑인을 비하하는 표현이라고 단정할 수 없는 데다 단순히 피부색을 지칭했다는 것만으로 인종 차별 발언이라고 비난할 수 없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주점 관계자는 “심각한 의미를 담아 붙인 이름은 아니다”며 “흑인들도 와서 즐겨 주문해 먹고 있으며 치킨 이름 때문에 항의하는 사람도 없었다”고 말했다.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