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대, 항암 성분 10배 ‘슈퍼쌀’ 사업화

방송대, 항암 성분 10배 ‘슈퍼쌀’ 사업화

입력 2014-03-06 00:00
수정 2014-03-06 0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학협력단, 이롬·새싹과 업무협약

한국방송통신대 산학협력단이 류수노 농학과 교수가 개발한 기능성 쌀 ‘슈퍼자미’와 ‘슈퍼홍미’의 사업화를 추진한다고 5일 밝혔다. 산학협력단은 서울 종로구 동숭동 방송대에서 식품회사 ㈜이롬, ㈜새싹과 기술 이전 계약 및 업무 협약을 맺었다.
이미지 확대
기능성 쌀 기술 이전 계약 및 업무협약을 맺은 방송대와 기업. 왼쪽부터 홍성길 이롬 생명과학연구원장, 류수노 방송대 농학과 교수, 안병국 방송대 산학협력단장, 김해경 새싹 대표. 한국방송통신대 제공
기능성 쌀 기술 이전 계약 및 업무협약을 맺은 방송대와 기업. 왼쪽부터 홍성길 이롬 생명과학연구원장, 류수노 방송대 농학과 교수, 안병국 방송대 산학협력단장, 김해경 새싹 대표.
한국방송통신대 제공


‘슈퍼자미’는 류 교수가 13년 동안 농림축산식품부, 서울시, 농촌진흥청에서 연구비 52억원을 지원받아 개발에 성공한 기능성 품종이다. 기능성 물질인 C3G 성분이 지금까지 육성된 쌀보다 10배 이상 높아 항산화, 항염, 항암, 항아토피, 항당뇨 등 심혈 관계 질병 예방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 품종 출원 중인 ‘슈퍼홍미’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활성화하는 효능이 있다. 기술을 이전받은 ㈜이롬과 ㈜새싹은 새 품종을 통한 수익을 올해 3600만원, 2015년 3억여원, 2016년 20억여원으로 기대했다. 산학협력단은 기술 이전 활성화를 위한 제도 정비와 기술 도입 업체 추가 발굴에 나설 계획이다.

류 교수는 “국민 1인당 쌀 소비는 줄고 있지만 기능성 쌀 시장은 크게 성장할 것”이라면서 “이번 협약이 만성 대사성 질환 예방과 치료에 효과가 높은 두 품종을 더 널리 생산, 보급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 구미경 시의원(국민의힘, 성동구 제2선거구)은 지난 17일 국내 최대 규모의 공영도매시장인 서울 가락시장에서 열린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가락김장축제)’에 참석해 김장 담그기 작업에 참여하며 나눔의 의미를 더했다. 가락김장축제는 2008년 시작해 올해로 18년째 이어지는 가락시장의 대표 나눔 행사이며, 시장을 구성하는 유통인과 공사가 예산을 마련하고 시민·봉사자들이 함께 김치를 담그며 겨울철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전통적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 올해 행사에는 가락시장 유통인, 기업, 자원봉사자, 어린이, 외국인 등이 참여해 대규모 김장 작업이 진행됐으며, 현장에서 완성한 1만 상자(100t 규모)의 김치는 행사 종료 후 서울시 전역의 취약계층·복지시설 등에 기부될 예정이다. 특히 올해는 현장 제작 김치만 약 1500상자(전체 기부량의 15%)에 달해 공동체 참여의 의미가 더욱 확대됐다. 구 의원은 김치 명인과 함께 직접 김장을 담그며 일손을 보탰으며, 갑작스러운 기온 하락 속에서도 나눔에 함께한 시민들과 봉사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했다. 또한 구 의원은 “김장은 우리 이웃을 하나로 이어온 전통이자 따뜻한 나눔의 문화”
thumbnail - 구미경 서울시의원, ‘2025 가락시장 김장나눔 시민대축제’ 참석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3-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