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한 ‘페친’(소셜네트워크서비스 ‘페이스북’ 친구)이 “참 멋지지 않으냐”며 사진 한 장을 공유했습니다. 꼬질꼬질한 옷차림의 흑인소년이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이들에게 날리는 발칙한 문구가 적힌 담벼락을 배경으로 서 있는 모습이었습니다. 다수와 다르다는 것이 ‘틀림’은 아니며 개인적 차이와 관계없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누려야 할 권리가 인권이라고 소년은 말없이 말하고 있었습니다.
의미심장한 사진을 공유한 페친은 문경란 서울시 인권위원회 위원장입니다. 2008년 한나라당(현 새누리당) 추천으로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차관급)을 지낸 여성문제 전문가였죠. 하지만 현병철 인권위원장이 2009년 취임 뒤 조직을 독단적으로 운영하자 임기 100일을 남기고 인권위를 떠났습니다. “인권은 좌우의 문제가 아니며 인권위와 인권위원의 생명은 독립성”이라고 여기는 그의 눈에 현 위원장은 생각이 퍽 다른 듯 보였습니다. 그는 ‘정권 눈치보기’로 일관하는 수장의 태도를 견딜 수 없었습니다. 2009년 12월 인권위원 다수가 “용산참사 사건 재판에 인권위가 의견을 내야 한다”고 하자 현 위원장은 회의를 강제로 끝내며 “독재라고 해도 어쩔 수 없다”고 말하기도 했답니다.
이미지 확대
유대근 특별기획팀 기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대근 특별기획팀 기자
‘인권위 독립성’에 대한 우려는 문 위원장만의 걱정이 아니었습니다. 세계국가인권기구 국제조정위원회(ICC)가 우리 인권위의 취약한 독립성 등을 문제 삼아 ‘등급 결정 보류’ 판정을 내린 사실이 알려지자 국내외 인권단체들은 ‘드디어 올 것이 왔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전문가들은 인권위가 태생적으로 ‘싫은 소리’를 해야 하는 조직이라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 양심에 따른 병역 거부를 인정하고 대체복무제를 입법하라는 권고를 통해 국가 질서와 인권이 충돌할 때 개인의 작은 목소리에 귀 기울여 주는 역할을 보여줬습니다. 인권위가 2003년 정부의 이라크 파병 계획에 반대하자 고(故) 노무현 대통령은 “인권위는 그런 일 하라고 만든 곳”이라고 말했습니다.
현 위원장은 2009년 8월 취임 초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인권위가 억눌린 사람들이 마지막으로 찾아오는 명동성당 같은 곳이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취임 5년을 앞둔 그에게 묻고 싶습니다. “위원장님의 인권위는 명동성당이 됐는지요?”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