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정몽준 네거티브, 가족이 용서하자 했다”

박원순 “정몽준 네거티브, 가족이 용서하자 했다”

입력 2014-06-24 00:00
수정 2014-06-24 14: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선거기간 고발 취하 의사 밝혀…뉴타운 출구전략 본격화 시사”도시재생이란 큰 목표하에 새 정책 브랜드 나올것”

박원순 서울시장은 24일 6·4 지방선거에서 경쟁했던 새누리당 정몽준 전 의원 측 인사들을 허위사실 유포로 고발한 것을 취하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서울시 기자단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내부에서는 이번에 (정 전 의원 측이 제기한) 여러 문제 중에 허위가 많아 정리(법적 대응)를 하고 넘어가야 한다고 했지만 지난번 정 전 의원과 만남 후 이걸(고발을) 유지해야 하느냐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아내나 가족들이 먼저 ‘다 정리해야 한다, 용서해야 한다’ 이렇게 주장하고 있어 그런 쪽으로 정리되지 않을까 싶다”며 “이긴 마당에 그걸 말하기도 그렇고 시대정신도 통합, 상생 아니냐”고 덧붙였다.

정 전 의원 측은 선거운동 기간 박 시장의 부인 출국설 등을 제기했다가 고발된 바 있다. 그러나 박 시장과 정 전 의원은 지난 19일 다시 만나 협력을 약속했다.

박 시장은 이번 선거에서 소수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들이 거의 당선되지 못한 데 대해 안타까움을 표시하기도 했다.

그는 “미안한 부분이 있다”며 “당 후보들은 반발하겠지만, 지방선거의 경우 원래 공천을 안 하기로 했었으니 다음번엔 무소속 후보들도 함께 경선에 참여하게 해서 우리 당에 소속된 인물이 아니라도 좋은 분이 있다면 그 인물로 단일화하는 등 풀뿌리 후보들도 도와줄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서울시장 3선에도 도전하겠느냐는 질문에는 “이제 좀 행복감을 맛보고 있는데 벌써 다음 선거를 얘기할 순 없다”고 답했다.

2기 시정에서는 뉴타운 출구전략을 본격화하겠다는 의지도 나타냈다.

박 시장은 “1기 때는 수습에 집중했는데 이제 도시재생이란 큰 목표하에 새로운 정책 브랜드가 나올 것”이라며 “해제할 곳은 하고 수익이 될 곳이면 강력히 지지해 추진할 것이며 중앙정부도 목표가 같아 대결할 이유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2롯데월드 저층부 임시사용 승인 문제에 대해선 “안전하다는 충분한 검증 없이는 사용 허가가 있을 수 없다”고 못박았다.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서울시의회 정준호 의원(더불어민주당, 은평4)이 지난 17일 서울시의회 제2대회의실에서 ‘도심 열섬 완화를 위한 서울시 폭염 대응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고, 냉방 에너지 사용을 효율화하기 위한 쿨루프와 옥상녹화 적용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마련됐다. 정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폭염을 단순한 불편이 아닌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하는 재난이라고 규정하고 “폭염 대응은 냉방 지원과 그늘막 조성 수준을 넘어 기후 적응형 도시정책으로 확장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토론회를 통해 도출된 의견들이 서울시 폭염 대응 및 기후 적응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서울시의회 의원으로서 최선을 다할 것을 약속했다. 발제에서는 고려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이헌 교수가 복사냉각 기술을 활용한 열섬 완화 방안에 대해 소개하며, 도심의 에너지 효율 개선 가능성을 제시했다. 한국인공지반녹화협회 김진수 부회장은 인공지반 녹화의 역할과 적용 사례를 공유하며 서울의 인공지반 녹화 확대 필요성을 강조했다. 토론자들은 폭염 대응이 단기 대책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복사냉각 쿨루프·인공지반 녹화·태양광 패널 설치
thumbnail - 정준호 서울시의원, 도심 열섬 완화 위한 폭염 대응 방안 논의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