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역 대학 수시모집 마감…경쟁률 대체로 상승

서울 지역 대학 수시모집 마감…경쟁률 대체로 상승

입력 2014-09-16 00:00
수정 2014-09-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고려대 23.04대 1, 이화여대 15.9대 1, 성균관대 29.1대 1

고려대, 이화여대, 중앙대, 경희대, 성균관대 등 서울 지역 상당수 대학이 15일 2015학년도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했다.

경쟁률이 대체로 오른 가운데 전형별로는 논술고사를 치르는 전형의 경쟁률이 높았고, 의과대학과 경상계열 경쟁이 치열한 것으로 분석됐다.

고려대 안암캠퍼스는 2천986명 모집에 6만8천783명이 몰려 전체 경쟁률 23.04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전년도 21.37대 1보다 경쟁률이 약간 오른 수치다.

전형별로는 1천210명을 선발하는 일반전형에 5만2천519명이 지원해 43.40대 1을 기록했고, 융합형인재전형 18.20대 1, 학교장추천전형 7.52대 1, 특별전형(과학인재) 7.03대 1, 특별전형(국제인재) 6.94대 1 등의 순이었다.

모집단위별로는 일반전형 의과대학이 96.40대 1로 경쟁률이 가장 높았고, 화공생명공학과(68.19대 1), 수학과(67.73대 1), 기계공학부(58.53대 1), 산업경영공학부(58.06대 1), 미디어학부(57.38대 1) 등이 뒤따랐다.

이화여대는 1천871명 모집에 2만9천697명이 몰려 15.9대 1의 경쟁률을 기록, 전년도(14.4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

전형별로는 논술 고사를 실시하는 일반전형이 30.7대 1, 모집단위별로는 의예과, 초등교육과, 화학생명분자과학부, 스크랜튼학부, 뇌·인지과학전공, 화학신소재공학과 등이 상대적으로 경쟁률이 높았다.

성균관대는 2천813명 모집에 8만1천859명이 원서를 내 전체 경쟁률이 29.1대 1로, 일반전형 경쟁률은 53.51대 1로 모두 지난해 같은 기준보다 올랐다.

모집단위별 경쟁률은 의예과가 206대 1로 최고치를 기록했고, 내년에 신설되는 글로벌바이오메디컬엔지니어링학과도 77대 1로 지원자가 몰렸다.

중앙대 서울캠퍼스는 전체 경쟁률 27.6대 1로 전년도 같은 기준 경쟁률인 19.1대 1보다 크게 상승한 가운데 모집단위별로 의학부 171.6대 1, 화학신소재공학부 155.8대 1,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148.9대 1 등이었다.

이 밖에 한국외대가 전체 경쟁률 24.29대 1, 동국대 20.06대 1, 세종대 17.93대 1로 모두 지난해보다 경쟁이 상대적으로 치열했다.

한편 경희대는 서울캠퍼스와 국제캠퍼스를 합쳐 3천97명 모집에 7만2천197명이 원서를 내 경쟁률 23.31로 작년 25.34대 1보다 소폭 낮아졌다.

한양대도 전체 경쟁률 24.51대 1로 전년도(31.75대 1)보다 떨어졌고, 건국대 역시 전체 경쟁률이 지난해(21.52대 1)보다 줄어든 20.72대 1을 기록했다.

이밖에 숙명여대(14.28대 1), 서강대(34.42대 1), 서울시립대(18.54대 1) 등도 이날 수시모집 원서접수를 마감했다.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박춘선 부위원장(강동3, 국민의힘)이 지난 20일 청계광장에서 열린 2025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에 참석해 시민들과 직접 만나 자원순환의 중요성과 실천의 가치를 나눴다. 이 행사는 박 부위원장이 시민 참여형 자원순환 문화 확산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제기해온 데 따라 마련된 대표 시민환경 프로그램이다. 행사가 펼쳐진 청계광장은 ▲자원순환 캠페인존 ▲에코 체험존 ▲에너지 놀이터존 ▲초록 무대존 등 네 개의 테마 구역에서 환경 인형극, 업사이클 공연, 에너지 체험놀이터, 폐장난감 교환소 등 다채로운 체험·놀이·공연 프로그램이 운영됐다. 시민들은 자원순환의 과정을 직접 보고, 듣고, 만들어보는 활동을 통해 새활용과 분리배출의 의미를 쉽고 재미있게 익혔으며, 자원순환이 일상의 작은 실천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음을 몸소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박 부위원장은 축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도시의 변화는 시민 한 사람의 작은 실천에서 시작된다”며 생활속 실천활동의 중요성을 되짚었다. 또한 “줍깅 활동, 생태교란종 제거, 한강공원 가꾸기, 새활용 프로그램 등 시민과 함께 한 모든 실천의 순간들이 큰 변화를 만들어왔
thumbnail - 박춘선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부위원장, 자원순환 시민행사 ‘초록이의 지구여행’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