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신청사委 외유성 출장 논란…”지사 측근 포함”

경기도 신청사委 외유성 출장 논란…”지사 측근 포함”

입력 2014-09-23 00:00
수정 2014-09-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도민 혈세로 당선 축하잔치” 비난…”새 아이디어 설계에 접목 목적” 해명

’경기도 신청사 건립 자문위원회’의 해외 벤치마킹을 두고 외유성 출장 논란이 일고 있다.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는 22일 보도자료를 통해 도 건설본부가 광교신도시 신청사 건립을 위한 벤치마킹을 목적으로 국외 출장비 6천만원을 추경예산안에 편성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해외 벤치마킹 계획에 따르면 10∼11월 신청사 건립 자문위원회 3분과(전체 12명) 위원 8명과 신청사 건립 담당 공무원 4명 등 12명이 출장에 참가한다.

8박10일 동안 미국 샌프란시스코, 로스앤젤레스, 시애틀, 워싱턴, 뉴욕 등을 차례로 방문한다.

공식방문 일정은 샌프란시스코 구글 본사, 로스앤젤레스 월트디즈니 콘서트 홀, 시애틀 공공도서관, MS 본사, 버지니아 패어팩스 카운티 청사, 워싱턴 국회의사당, 백악관, 제퍼슨 기념관, 뉴욕현대미술관, 구겐하임미술관 등이다.

문화탐방 일정은 몬터레이 페블비치, 덴마크민속마을 솔뱅, 뉴욕 자유의여신상, 차이나타운, 타임스퀘어 등으로 짜였다.

도의회 건설교통위는 공식방문과 문화탐방 상당수 일정이 벤치마킹 목적과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건설교통위 김종석(새정치연합·부천6) 의원은 “3분과 자문위원은 신청사 콘셉트 설정과 내외부 디자인 자문역할을 하는데 이미 관련자료는 집행부 내에 충분히 축적돼 있다”면서 “설계가 완료된 신청사에 대해 뒤늦게 민간전문가가 참여해 벤치마킹을 하는 것은 전형적인 혈세낭비”라고 비난했다.

그는 특히 “3분과 자문위원에는 조동원 경기도혁신위원장, 임해규 경기개발연구원장 등 남경필 지사 측근들이 다수 포함됐는데, 이는 도민 혈세로 당선축하잔치를 벌이는 것과 다름없다”면서 “관련 예산을 전액 삭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해외출장에 나서는 3분과 자문위원 대다수는 남 지사 취임이후인 지난 11일 위촉된 민간위원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이번 출장은 광교 신청사가 사람중심, 소통중심의 구글 오피스를 지향하는 콘셉트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 새로운 아이디어를 현장에서 도출해 설계에 접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며 “아직 출장에 나서는 위원들이 확정되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7일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이날 총회에는 서울신용보증재단 손명훈 서대문지점장, 박정수 회장 등 상인회 관계자, 정재원 동장 등이 함께했다. 이번 총회는 북가좌2동 먹자골목의 상인들이 힘을 모아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받기 위한 첫걸음이었다. 무더위와 휴가철로 인해 상인들의 참석이 저조하여 아쉬움이 있었지만, 상인들은 골목상권 활성화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였다. 골목상권 구획화 및 육성지원 사업은 정책 사각지대에 놓인 골목상권을 상권 단위로 체계적으로 구획화하고, 골목형상점가 지정을 통해 상권 활성화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사업이다. 골목형 상점가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제2조제2호의2에 따라 소규모 점포들이 일정 구역에 밀집된 지역으로, 전통시장이나 일반 상점가로 지정되기 어려운 골목상권을 보호하고 지원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로 2000㎡ 이내의 면적에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점포가 30개 이상(서대문구는 25개) 밀집하여 있는 구역을 말한다. 골목형상점가 지정 시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가맹이나 정부 및 지자체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북가좌동 골목 상점가 상인회 설립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