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간 다툼으로 고객·직원에 큰 심려 20년간 실질 경영… 기조 변화 없을 것”

“가족간 다툼으로 고객·직원에 큰 심려 20년간 실질 경영… 기조 변화 없을 것”

입력 2014-09-25 00:00
수정 2014-09-25 13: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경실 회장 인터뷰

경영권 분쟁으로 남편 고인경 전 파고다교육그룹 회장과 지난한 법정 공방을 벌여온 박경실(59) 파고다 회장이 이혼 후 처음으로 입을 열였다.

이미지 확대
남편과 경영권 분쟁으로 법정 공방을 벌여온 박경실 파고다 교육그룹회장이 22일 이혼 후 처음으로 가진 인터뷰에서 “앞으로는 더 많이 나누며 사회에 봉사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남편과 경영권 분쟁으로 법정 공방을 벌여온 박경실 파고다 교육그룹회장이 22일 이혼 후 처음으로 가진 인터뷰에서 “앞으로는 더 많이 나누며 사회에 봉사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이호정 기자 hojeong@seoul.co.kr
지난 22일 서울 강남 파고다타워 20층 집무실에서 만난 박 회장은 “가족 간의 분쟁으로 직원과 고객에게 큰 심려를 끼쳤다”면서 “앞으로는 더 많이 나누며 사회에 봉사하겠다”고 운을 뗐다. 지난 6월 다문화가정과 탈북자 자녀, 장애인 교육을 지원하는 한국다경문화재단을 설립한 것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했다.

1979년 친정의 반대에도 결혼한 이들 부부의 갈등은 배다른 두 딸이 본격적으로 경영에 참여하면서 시작됐다. 갈등은 고 전 회장 측이 2012년 박 회장을 고소하고 같은 해 이혼소송을 제기하며 극에 달했다. 최근 2년 만에 이혼 소송을 마무리 지은 박 회장은 굳은 마음을 품고 경영자로서 자신을 다시 추스르는 중이다. 박 회장은 “1990년대 중반부터 실질적으로 파고다를 경영해 왔다”며 “이혼으로 달라지는 건 아무것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31년간 파고다를 성공적으로 이끌어온 리더십의 바탕은 무엇일까. 박 회장은 “아버지를 세 살 때 여의고 홀로 생계를 책임진 어머니를 롤모델 삼아 자랐다”고 말했다. 숭의여고 시절 배구선수 생활을 하면서 받았던 혹독한 훈련도 사회생활의 담력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됐다고 했다.

그는 “과거 대표라면 감성적인 모습을 보여서는 안 된다고 생각해 철저하게 여성성을 숨긴 적이 있다”면서 “하지만 서비스업이 주를 이루는 21세기에는 여성의 감성이 곧 강점이다. 이젠 모성애와 여성성을 유감없이 발휘하고 있다”며 웃었다. 여성성은 공격적이기만 했던 그의 리더십을 보완해 주는 요소다. ‘경영은 공격적으로, 임직원은 따뜻한 모성으로 섬기자’가 그의 경영철학이다.

박 회장은 통 크고 소탈한 성격으로 직원들과 격의 없이 어울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직원 워크숍이 열리면 직접 재어 놓은 고기라도 들려 보내야 직성이 풀린다. 직원들은 회식 2차 장소로 ‘한남동 와인바’를 외친다. 한남동 와인바는 다름 아닌 박 회장의 자택이다. 스스럼없이 임직원들을 초대해 음식을 대접하기를 즐기는 박 회장은 ‘직원=가족’이란 공식을 항상 마음에 품고 있다.

마지막으로 박 회장에게 여성들을 위한 한마디를 부탁했다. “사회에서 만들어낸 ‘유리천장’이란 말에 갇히지 말았으면 해요. 여성들 스스로 한계를 부수고 여성 특유의 장점을 맘껏 발휘해 줬으면 합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9-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