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 변호사 절반은 과장 이하 직급으로 일해”

“사내 변호사 절반은 과장 이하 직급으로 일해”

입력 2014-11-14 00:00
수정 2014-11-14 14: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변회 설문조사…고충 질문에 ‘연봉 등 금전 불만’ 가장 많아

회사에 고용돼 일하는 사내 변호사 2명 중 1명꼴로 과장 이하의 직급에서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서울지방변호사회(나승철 회장)가 사내 변호사 391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전체의 47.06%(184명)가 사원·대리·과장 직급으로 근무한다고 답했다.

차장과 부장으로 일하는 사내 변호사는 각각 13.55%(53명), 13.81%(54명)인 반면에 임원 직급을 가지고 있다는 응답자는 5.63%(22명)에 그쳤다. 직급 없이 ‘변호사’로 고용된 경우 등 기타 형태는 19.95%(78명)였다.

또 전체 응답자의 67.26%(263명)는 정규직으로 일한다고 답했고, 계약직은 31.71%(124명), 기타 고용 형태는 1.02%(4명)로 나타났다.

사내 변호사로서 고충을 묻는 질문에는 연봉 등 금전적인 불만이 21.6%(165명)로 가장 많았고, 변호사의 독립성을 침해받는다는 응답이 20.16%(154명)로 뒤를 이었다.

그 밖에 법무 이외의 일을 하는 것(19.5%·149명), 일반 직원들과의 갈등(16.36%·125명), 변호사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조직 문화(11.13%·85명), 과도한 업무량(7.59%·58명) 등을 고충으로 꼽았다.

사내 변호사의 82.35%(322명)는 법률 자문 등 역할 외에 회사 업무와 관련해 소송 대리를 하는 것에 대해 찬성했지만, 17.65%(69명)는 법률 자문 외 송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서울변회는 “사내 변호사가 본연의 역할을 충실히 하고 법률 전문가로서 처우를 받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