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광양시내 아파트 13곳에서 수년째 녹물이 나와 일부 아파트 수돗물과 온수 등에 대해 중금속 검사를 한 결과 기준치의 최고 70배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남 광양시내 아파트 13곳에서 수년째 온수 사용 시 녹물이 나와 일부 아파트 수돗물과 온수 등에 대해 중금속 검사를 한 결과 기준치의 최고 70배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광양읍의 한 아파트 세면대와 욕조 등에서 녹물이 나오는 모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전남 광양시내 아파트 13곳에서 수년째 온수 사용 시 녹물이 나와 일부 아파트 수돗물과 온수 등에 대해 중금속 검사를 한 결과 기준치의 최고 70배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광양읍의 한 아파트 세면대와 욕조 등에서 녹물이 나오는 모습.
28일 광양시에 따르면 광양읍과 중마동 소재 녹물이 나온 아파트 2곳에서 정수장과 아파트 저수조, 냉수, 보일러 온수, 데워진 후 수도꼭지에 일정 기간 머물러 있는 정체수를 채취해 검사한 결과 온수와 정체수에서 중금속이 다량 검출됐다고 설명했다.
중마동의 한 아파트 정체수에서는 망간이 기준치(0.05mg/ℓ)의 77배에 달하는 3.847mg/ℓ나 검출됐으며 납도 기준치(0.01mg/ℓ)의 3배 수준인 0.029mg/ℓ가 나왔고 세레늄, 철, 알루미늄 등 총 5개 중금속이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
광양읍의 아파트 보일러 온수에서는 망간이 0.352mg/ℓ로 기준치의 7배 이상 나왔고 세레늄도 기준치(0.01mg/ℓ)보다 많은 0.016mg/ℓ나왔다.
주민들은 아파트 온수에서 계속 누런 녹물이 나와 설거지나 빨래조차 하기 어려워 2012년부터 광양시에 민원을 제기했으나 시는 겨울철만 지나면 이상이 없지 않느냐는 태도로 책임을 회피했다고 주장했다.
광양읍의 한 아파트 거주민은 “1분 정도 녹물이 나오다가 없어지니까 입주 초기에는 일시적인 현상인줄 알고 참았지만 나아지지 않았다”며 “생수를 사 마시고 연수기를 설치했는데 통상 두 달에 한 번 교체하는 필터가 금방 새카매져 매달 교환하고 있다”고 호소했다.
13개 아파트단지 대표자회의는 광양시의 사과와 대책 강구를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 단체는 “올해 초 주택관리사협회 전남도회에서 전남 22개 시군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 광양시내 13개에서만 온수 사용시 녹물 문제가 발생했다”며 “이들 아파트는 모두 건립된지 채 5년도 안됐으며 보일러 회사도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들 단체는 “그동안 광양시와 보일러 회사 모두 ‘수돗물은 안전하다’, ‘보일러는 이상 없다’며 책임을 회피하다가 최근 뒤늦게 수질 분석을 한 결과 주민들이 장기간 중금속 수돗물을 먹고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며 “주민 건강을 책임져야 할 광양시는 속히 원인을 밝혀 대책을 강구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시 차원에서 시민단체와 입주민 대표가 참여하는 공동조사단을 꾸려 오염원을 밝히고 추후 민·형사상의 책임 규명, 시의회의 특위 구성 등을 요구했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