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절이 슬픈 사람들] 화마가 삼킨 가족 원 풀어야… 차례는 사치죠

[명절이 슬픈 사람들] 화마가 삼킨 가족 원 풀어야… 차례는 사치죠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5-02-17 21:58
수정 2015-02-17 2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의정부 화재·판교 환풍구 붕괴사고 유가족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로 동생 윤효정(29·여)씨를 잃은 윤홍근(30)씨의 ‘시간’은 여전히 지난달 10일에 멈춰 있다.

이미지 확대
지난해 어머니 생일 때 한자리에 모인 윤홍근씨 가족.  윤홍근씨 제공
지난해 어머니 생일 때 한자리에 모인 윤홍근씨 가족.
윤홍근씨 제공


설 연휴를 하루 앞둔 17일, 다른 사람들은 선물세트를 들고 분주하게 오갔지만 윤씨는 사고 원인규명을 위해 시청과 시의회, 경찰서, 소방서, 변호사 사무실을 발이 부르트게 뛰어다녔다. 효정씨는 화재 당일 오후 늦게까지 ‘신원 미상의 여성’으로 사망자 명단에 올라 있었다. 윤씨는 여동생의 행방을 찾으려고 병원 20여곳을 뒤졌지만, 동생은 결국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사고 이후 윤씨 가족은 만신창이가 됐다. 1년 전 설만 해도 서울 면목동 할아버지 댁에 10여명의 일가친척들이 모여 차례도 지내고 밀린 얘기를 쏟아냈지만, 올해는 차례조차 생략하기로 했다. 윤씨는 “동생이 죽은 뒤 아버지는 충격을 받고 거동이 불편해지셨고 심장이 좋지 않던 어머니는 매일 병원에 다니신다”고 말했다.

결혼식을 불과 두 달 앞두고 화를 당한 탓에 주인을 잃고, 먼지만 쌓여가는 여동생의 혼수를 처리하는 것도 윤씨의 몫이다.

윤씨는 “10시 50분 구조돼 의정부성모병원으로 옮겨졌다가 다시 서울 강남의 베스티안 병원으로 이송돼 사망하기까지 가족은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했다”며 “무뚝뚝한 오빠로 평생 해준 게 없는데, 결혼을 앞두고 숨진 동생의 손도 잡아주지 못했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의정부 화재로 숨진 고 안현순(68)씨의 아들 박장원(37)씨에게도 이번 명절은 없다. 박씨는 의정부 화재 사망자 유가족 대책 위원장을 맡아 사고 원인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해 뛰어다니고 있다.

박씨는 지난 1월 23일, 어머니의 신발을 사건 현장에서 직접 찾았다. 안씨 신발은 옥상 문을 1m 정도 앞두고 한 짝씩 벗겨져 있었다. 박씨는 “고인 유품도 방치돼 있어 가족들이 일일이 찾아 다녀야하는 것은 물론 구조 과정에서의 문제점, 최초 발견 구조대원의 증언, 사고의 원인 규명과 책임에 대해 시는 나 몰라라 하고 있다”며 “진실이 규명될 때까지 유가족들에게 명절은 없다”고 고개를 떨궜다.

지난해 10월 판교 환풍구 붕괴 사고로 처남 윤철(35)씨를 잃은 한재창(41)씨는 이번 설을 예전처럼 가족과 함께 보낼 생각이다. 이미 행사 주최 측과 유가족의 합의로 보상이 끝났다. 유가족들은 악의나 고의에 의해 발생한 사고가 아니라고 판단해 ‘행사 관련자들에 대한 형사처벌도 최소화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한씨는 “가족들에게는 여전히 아물지 않은 상처지만, 처남이 남기고 간 7살, 5살, 3살짜리 아이들을 생각해서라도 평소처럼 설을 보낼 생각”이라며 “설날이면 늘 처갓집 좁은 방에서 처남과 뒤엉켜 자곤 했는데 이젠 그럴 수 없다는 생각에 지금도 눈물이 나지만, 결국 식구끼리 상처를 보듬어야 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서울시의회 주택공간위원회 김영철 의원(국민의힘, 강동5)은 지난 13일 천호3동 공공복합청사 4층에 12일 개관한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를 방문해 운영 현황 및 안전·편의시설 전반을 점검했다. 디지털동행플라자는 서울시가 추진하는 디지털 포용 정책의 핵심 거점으로, 어르신과 디지털 취약계층이 디지털 기술을 일상 속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체험·상담 프로그램을 전면 무료로 제공하는 디지털 전문 플랫폼이다. 특히 이번 강동센터 개관은 김 의원이 동남권역 디지털동행플라자 거점을 강동구에 유치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 온 성과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 동남권역센터 확충 논의 초기부터 강동의 고령층 수요와 지역 여건을 근거로 강동구 유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했고, 센터 설치가 확정된 후에는 관련 예산 확보 과정까지 직접 챙기며 사업 추진 기반을 다졌다. 이날 현장에서 김 의원은 프로그램 운영실, AI 체험존, 커뮤니티 공간 등을 직접 살펴보며 프로그램 난이도·기기 배치·이용 동선 등 운영 전반을 세심히 점검했다. 특히 ▲파크골프 ▲ AI바둑 로봇 ▲스마트 운동·게임기기 ▲AI 사진관 촬영 등 주요 체험 프로그램을 직접 체험하며 구민 관점에서의
thumbnail - 김영철 서울시의원, ‘서울디지털동행플라자 강동센터’ 현장 점검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5-02-18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