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가 불분명한 주황색 쓰레기봉투가 부산지역 사업장에서 사용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부산시의회 경제문화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박성명 의원은 10일 열린 시의회 제243회 임시회에서 자유발언에 나서 “출처 불명의 주황색 쓰레기봉투를 쓰는 사업장이 시의 쓰레기 감량정책을 교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루 300㎏ 이상 쓰레기를 배출하는 부산지역 사업장은 1천356곳으로, 이 가운데 78%만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고 있다.
나머지 22%의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주황색 쓰레기봉투는 그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사업장 쓰레기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던 주황색 봉투는 이미 6년 전에 없어졌지만 여전히 상당수 사업장에서 사용된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주황색 봉투에 담긴 쓰레기의 민간시설 반입료는 종량제 봉투보다 10만9천원이나 낮은 톤당 2만1천원에 불과하고, 그 쓰레기가 다시 공공처리시설로 들어가면서 시민에게 처리 비용이 전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출처 불명의 값싼 주황색 쓰레기봉투 탓에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음식물 쓰레기까지 14.3%나 포함되는 등 사업장 쓰레기의 분리수거율이 낮아지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부산시의회 경제문화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박성명 의원은 10일 열린 시의회 제243회 임시회에서 자유발언에 나서 “출처 불명의 주황색 쓰레기봉투를 쓰는 사업장이 시의 쓰레기 감량정책을 교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루 300㎏ 이상 쓰레기를 배출하는 부산지역 사업장은 1천356곳으로, 이 가운데 78%만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고 있다.
나머지 22%의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주황색 쓰레기봉투는 그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사업장 쓰레기를 담는 용도로 사용되던 주황색 봉투는 이미 6년 전에 없어졌지만 여전히 상당수 사업장에서 사용된다는 게 박 의원의 주장이다.
박 의원은 “주황색 봉투에 담긴 쓰레기의 민간시설 반입료는 종량제 봉투보다 10만9천원이나 낮은 톤당 2만1천원에 불과하고, 그 쓰레기가 다시 공공처리시설로 들어가면서 시민에게 처리 비용이 전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출처 불명의 값싼 주황색 쓰레기봉투 탓에 별도로 수거해야 하는 음식물 쓰레기까지 14.3%나 포함되는 등 사업장 쓰레기의 분리수거율이 낮아지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